[SOH] 서유기에는 금각(金角)대왕과 은각(銀角)대왕 및 그들의 부하 정세귀(精細鬼)와 영리충(伶俐蟲)이 나온다.
금각과 은각을 각각 직역하면 ‘금으로 된 뿔’과 ‘은으로 된 뿔’로, ‘이익 추구가 쇠뿔 끝까지 도달해 극단에 이르렀다’는 뜻을 담고 있다.
세상에는 금전이나 이익 등을 지나치게 추구하고 중시하는 사람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는데, 만약 온 사회가 다 이런 상태에 처해 있다면, 다시 말해 모두 이익만을 위하는 기점과 중심이라면 그것은 불가(佛家)에서 말하는 말법(末法)시기 요마귀괴(妖魔鬼怪)가 앞 다퉈 동굴에서 나와 인류사회를 어지럽히는 때가 아닌가?
이들의 부하인 정세귀과 영리충의 이름은 속세의 사람들에게 총명(精明)하고 영리한 느낌을 주지만 더 높은 층차에서 보자면 이것은 좋지 않은 것으로 사람은 마땅히 ‘순박(淳朴)’해야 한다.
금각대왕과 은각대왕, 정세귀, 영리충은 서유기에 등장하는 한 무리 요정들로 조연에 불과하지만 그들의 이름에는 깊고 현실적인 의미가 담겨 있다.
그렇다면 주인공인 손오공(孫悟空)의 이름에는 어떤 의미가 담겼을까?
손오공이란 이름은 그의 첫 번째 사부인 보리조사가 지어준 것이다. 서유기에서 보리조사를 묘사하는 단어들을 보면 유가(儒家)와 불가(佛家) 및 도가(道家)를 동시에 포함하는데 다시 말해 보리조사의 신분은 유불도(儒佛道) 삼가(三家)를 포함한다.
손오공의 성(姓)은 원숭이를 뜻하는 ‘호손(猢猻)’의 ‘손(猻)’에서 유래한 것이다. 여기서 짐승을 의미하는 글자인 견(犭)을 떼어낸 것이 바로 ‘손(孫)’이다. 이 손이란 성은 보리조사가 손오공의 외모를 보고 정해준 성이다.
마찬가지로 저팔계(豬八戒)의 성도 외모(돼지모습)에서 온 것이지만 그의 성은 짐승을 뜻하는 글자를 제거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손오공의 성(姓)은 확실히 특별하다. 손(孫)의 표면적인 의미는 △향불을 전승할 후세자손이나 △장래 △후세 등으로 볼 수 있다.
오(悟)란 글자 역시 특별하다. 손오공의 이름 오공은 보리조사가 지어준 것으로, 손오공이 그의 여러 제자들 중 마침 오(悟)자 항렬에 해당했기 때문에 이 글자를 사용했다.
저팔계와 사오정의 법명 오정(悟淨)과 오능(悟能) 역시 같은 오(悟)자를 쓴다. 이들의 법명은 관음보살이 지어 준 것이다.
이들이 이름과 법명에 ‘오’자가 있는 것은 사람이 미혹(迷惑) 속에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즉, 인간세상이란 바로 미혹의 공간으로 진상(眞相)을 볼 수 없으니 깨달음에 의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空)은 보편적으로 불가의 공(空) 즉 불문(佛門)으로 이해한다. 그러므로 오공(悟空)이란 이름에는 사람이 미혹 속에서 불법을 얻고 깨달아야 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또 다른 한 층의 의미는 불문(佛門 즉 空門)에 들어가서 불법(佛法)을 증오(證悟)한다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계속)
正見網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