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국경없는 기자회’(RSF)가 7일(현지시간) 중국공산당(이하 중공)의 언론 탄압 실상을 담은 82쪽 분량의 보고서 ‘중국 저널리즘의 거대한 후퇴(The Great Leap Backwards of Journalism in China)’를 발간했다.
RSF는 언론 자유와 언론인 인권 보호를 위해 1985년 프랑스 파리에서 결성된 국제비영리단체다.
9일 ‘에포크타임스’에 따르면 이번 보고서는 2년 전 공개된 중공 언론에 대한 실태 보고서 ‘새로운 미디어 질서를 추구하는 중국(China’s Pursuit of a New World Media Order)’의 후속 편이다.
RSF는 보고서에서 “중공은 기술적 검열과 감시 도구를 계속 강화해 정보에 접근하는 것이 권리가 아닌 범죄가 되는 사회 모델을 구축했다”면서 “‘적대 세력(서방)’에 맞선다는 명분으로 ‘불량 저널리즘(rogue journalism)’ 개념을 국외로 전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보고서는 △언론인에 대한 탄압 △홍콩의 언론 자유 악화 △국경을 넘나드는 중공의 정보 통제 전략 등 총 3장으로 구성됐으며, △중공 당국과 각국 정부들, 관련 기관에 대한 호소 △언론인 및 언론사, 출판사, 소셜네트워크(SNS)를 위한 제안으로 마무리 됐다.
RSF는 보고서에서 중공은 언론인에 대해 이데올로기 수용을 강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2019년 10월부터 중국 기자들은 ‘사상 검증 테스트’를 의무적으로 치러야 기자증을 발급 받을 수 있다. 또한 시진핑 사상을 테스트하는 애플리케이션도 스마트폰에 설치해야 한다.
중공의 언론인에 대한 사상 검증은 향후 한층 강화될 예정이다. 중국 미디어 전담 기구인 국무원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은 지난 10월 15일 “직업 언론인들은 최소 90시간에 달하는 ‘중국 공산당 주관’ 교육을 받게 할 방침”이라고 공표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중공 당국은 비 직업 언론인(프리랜서 기자)을 포함해 최소 127명의 언론인을 억류하고 있다.
이들은 중형 선고에 더해 비위생적이고 고문과 학대가 자행되는 수용소에서 생명을 잃을 수 있는 위험에 처해 있다.
보고서는 중공의 언론 탄압의 대표적인 예로 홍콩을 지목했다. 홍콩은 RSF가 2002년 이후 매년 집계·발표하는 ‘세계 언론 자유 지수’에서 2002년 18위(완전 자유 국가)였지만 2021년 80위(부분 자유 국가)로 추락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