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5.02(금)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韓 국제결혼 증가... 女배우자 국적은 중·베트남이 최다

디지털뉴스팀  |  2023-12-20
인쇄하기-새창


[SOH] 우리나라 전체 결혼에서 국제결혼이 차지하는 비중이 1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11월 29일) 통계청 발표한 ‘2022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 혼인은 1만7428건으로 전년보다 25.1%(3502건) 늘었다. 반면 지난해 국내 전체 혼인 건수는 19만2000건으로 전년보다 0.4% 줄었다. 

국내 국제결혼은 팬데믹 직전인 2019년 2만4700건으로 전체 혼인건수의 10.3%를 차지했다. 그러나 코로나19 확산으로 2020년 1만6200건, 2021년 1만3900건으로 크게 줄었다가 지난해부터 다시 늘고 있다.

다문화 혼인 유형은 한국인 남편과 결혼하는 ‘외국인 아내’가 66.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외국인 아내의 국적은 베트남(23.0%)이 가장 많았고, 중국(17.8%)과 태국(11.1%)이 각각 그 뒤를 이었다.

지난 10년간 외국인 아내 국적은 베트남과 중국이 1, 2위를 번갈아가며 차지해 오고 있다. 중국은 2012년 이후 줄곧 20%대를 기록해오다가 이번에 처음 10%대로 떨어졌다.

국내 전체 혼인 중 국제결혼이 차지하는 비중은 9.1%으로 전년대비 1.9%포인트 증가했다. 이미 일부 지자체에서는 새로 결혼하는 부부 열 쌍 중 한 쌍은 다문화 가정이다. 

지역별로는 제주(10.8%), 충남(10.6%), 전남(10.4%) 등 농어촌 지역이 많은 지자체에서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다문화 혼인을 한 남편은 45세 이상의 비중이 31.2%로 가장 많았다. 반면 다문화 혼인을 한 아내의 경우 30대 초반이 24.6%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제결혼 비중은 늘고 있지만 출산율은 감소하고 있다. 

다문화 가정에서 출생한 신생아 수는 지난해 1만2526명으로 전년대비 12.5%(1796명) 줄었다. 지난해 국내 전체 출생아는 24만9000명으로 전년보다 4.4% 줄었다. 

매일경제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193 정교모 “사전투표는 위헌”... ‘헌재 결정 촉구 서명운동....
디지털뉴스팀
24-02-02
1192 블랙록 韓 해상풍력 사업 제동... 왜?
디지털뉴스팀
24-02-01
1191 韓·日 관광객... 지난해 상호 1위
도현준 기자
24-01-31
1190 정부 ‘등록 동거혼’ 검토... 동거 신고 → 세금·복지 혜택..
디지털뉴스팀
24-01-26
1189 국정원, 선관위 ‘낙제 보안’ 재점검
디지털뉴스팀
24-01-25
1188 국방부 ‘트랜스 여성’에 병역의무 부과
디지털뉴스팀
24-01-25
1187 韓 재외공관, 우리 문화 홍보에 ‘중국 옷·일장기 같은 ....
한지연 기자
24-01-24
1186 중국인 韓 부동산 보유 7년 새 3배↑... 상호주의 적용 要
디지털뉴스팀
24-01-23
1185 대법원 ‘성별정정 수술확인서’ 폐지 검토... 女 안전권·....
디지털뉴스팀
24-01-21
1184 인천 '랜드마크' 디자인 논란... “광저우 타워 판박이?”
디지털뉴스팀
24-01-20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5,890,026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