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국 여론조사 및 컨설팅 기관 ‘갤럽(Gallup)’이 중국 내 사업 전면 철수에 나서, 중국의 반(反)간첩법 개정에 따른 사업 환경 악화가 원인으로 보인다.
4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소식통을 인용해 “갤럽은 중국 내 사업을 모두 중단하고, 진행 중인 프로젝트는 중단하거나 해외로 이전해 진행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갤럽은 지난 1993년 중국에 진출, 베이징과 상하이, 선전에 사무소를 두고 경영 합리화와 마케팅 최적화 등과 관련해 현지 기업에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 해왔다. 그러나 최근 당국의 엄격한 규제로 조사 등 활동에 큰 제약을 받았다.
갤럽의 이번 결정은 중국 당국의 방첩법 개정에 따른 대응으로 풀이된다. 이 법은 간첩 행위 적용 범위를 기존의 국가 기밀 및 정보에서 ‘국가안보와 관련된 모든 기타 문건, 데이터, 물품’으로 확대했다.
중국 규제당국은 국가안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이유로 지난 3~4월 베인앤컴퍼니, 민츠, 캡비전 등 외국 실사업체와 컨설팅 기업들을 급습, 사무실을 폐쇄하고 고강도 조사를 벌였다.
이후 7월 1일부터 국가 안보 및 국익과 관련된 ‘모든 서류와 자료, 기사’를 단속 대상으로 하는 고강도 반간첩법 개정안을 발효했다.
갤럽은 중국 이외 지역에서 수행한 각종 여론조사. 통계 등에서 중국에 부정적인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잦아 중국 당국의 타깃이 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커진 상황이다.
지난 3월에도 갤럽은 중국을 호의적으로 보는 미국인 비율이 역대 최저인 15%로 감소했다는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해 중국의 비난을 받았다.
당시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즈'는 “갤럽은 중국을 견제·고립시키고 미국의 지배력을 유지하는 도구”라며 반발했다.
갤럽은 중국 내 사무소 세 곳 모두 폐쇄할 예정이며, 현지 직원들의 고용을 유지할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