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국 정부가 여권에 남성이나 여성이 아닌 ‘제3의 성별’을 표시할 수 있는 제도를 공식 도입한다.
1일(현지시간) ‘애틀랜타한인뉴스포털’ 등에 따르면 미 국무부는 트랜스젠더의 날인 지난달 31일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명의 성명을 통해 4월 11일부터 여권 신청서에 남성과 여성 외에 제3의 성인 ‘젠더 X’를 추가한다고 밝혔다.
블링컨 장관은 성명에서 “X 젠더는 성별 구분으로 특정되지 않거나 다른 성 정체성을 가진 사람으로 정의된다”며 “이 같은 정의는 개인의 사생활을 존중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성소수자를 포함해 모든 사람의 자유와 존엄, 평등을 보호하고 증진한다는 우리의 약속을 재확인한다”고 덧붙였다.
‘젠더 X’는 논바이너리(자신을 여성 또는 남성으로 확고히 정체화하지 않는 사람)나 간성(생식기나 성호르몬 등이 성별 이분법적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 또는 기존 성별 구분에 불편함을 느끼는 이들을 가리킨다.
앞서 국무부는 지난해 6월 미 여권 신청 시 남성과 여성 구분을 자의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그들이 선택한 것이 다른 신분 증명서에 표기된 것과 부합하지 않더라도 의료 증명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당시 국무부는 향후 여권 및 해외 출생증명 등에 제3의 성을 도입하겠다는 입장도 함께 내놓았다. 이후 같은 해 10월 성별을 ‘X’로 표시한 여권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급했다.
사회보장국과 국토안보부도 트랜스젠더 권리를 보장하는 조치들을 잇달아 내놨다.
사회보장국은 올해 가을부터 사회보장카드에 성별을 기재하는 데 의료 기록 등을 통한 증명이 요구되지 않을 것이라 밝혔다.
국토안보부 산하 교통보안청은 지난달 30일 기자회견에서 성 중립적인 보안 검색 기술을 도입할 예정이라 밝혔다.
이는 보안대 통과 시 경고음이 울려 추가 신체 수색을 받아야 하는 등에 대해 트랜스젠더들이 시스템 개선을 요구한 것을 고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교통보안청은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몸수색의 횟수도 줄일 것이라 밝혔다.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조 바이든 행정부의 이번 조치는 보수 진영의 반발을 부를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플로리다를 비롯한 일부 보수 성향 주에서는 트랜스젠더를 비롯한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 입법’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달 28일 론 디샌티스 플로리다주지사는 유치원부터 3학년까지 성적 지향 및 성 정체성에 대한 수업을 금지하고, 이외 학년에 대해서도 적절한 나이가 될 때까지 해당 교육을 금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오클라호마와 애리조나 등 일부 주는 트랜스젠더 소녀들이 여성 경기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