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을 취소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북한이 서둘러 수습에 나섰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25일,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 명의로 담화 발표를 통해 북미 정상회담 취소를 재고할 것을 미국 측에 촉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북미 정상회담 취소를 발표하며, 북한에 대해 대화의 여지를 남긴 데 대해 7시간 만에 서둘러 입장을 표명한 것이다.
북한은 미국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회담을 재고려하겠다”는 입장과 함께 거친 표현을 서슴지 않으며 미국을 기선제압하려 해왔다. 하지만 정작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을 전격 취소하자 즉시 유화적인 태도로 입장을 바꿔 회담 취소를 재고할 것을 회유하고 나섰다.
김 제1부상은 담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취소 사유로 북한 측 인사의 대미 강경파 비난을 든 데 대해, “조미 수뇌상봉(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일방적인 핵 폐기를 압박해온 미국 측의 지나친 언행이 불러온 반발에 지나지 않는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은)조선반도(한반도)는 물론 세계의 평화와 안정을 바라는 인류의 염원에 부합되지 않는 결정이라고 단정하고 싶다”고 밝혔다.
김 제1부상은 이어 “미국 측의 일방적인 회담 취소 공개는 우리로 하여금 여태껏 기울인 노력과 우리가 새롭게 선택하여 가는 이 길이 과연 옳은가 하는 것을 다시금 생각하게 만들고 있다”고 유감을 표시하면서도 “불미스러운 사태는 역사적 뿌리가 깊은 조미 적대관계의 현 실태가 얼마나 엄중하며 관계 개선을 위한 수뇌상봉이 얼마나 절실히 필요한가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며 회담 진행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했다.
북한은 이번 담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유화적이고 정중한 표현도 아끼지 않았다. 심지어 전날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행사를 치른 뒤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 취소 통보를 받은 데 대해서도 전혀 비난을 표시하지 않았다. 북한이 이번 정상회담에 거는 기대가 얼마나 큰지를 짐작케 한다.
김 제1부상은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시기 그 어느 대통령도 내리지 못한 용단을 내리고 수뇌상봉이라는 중대 사변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데 대하여 의연 내심 높이 평가하여 왔다”며, “(회담을 통해)쌍방의 우려를 다 같이 해소하고 우리의 요구 조건에도 부합되며 문제 해결의 실질적 작용을 하는 현명한 방안이 되기를 은근히 기대하기도 하였다”고 자세를 낮췄다.
북한은 이번 담화를 통해, “조선반도와 인류의 평화와 안정을 위하여 모든 것을 다하려는 우리의 목표와 의지에는 변함이 없으며 우리는 항상 대범하고 열린 마음으로 미국 측에 시간과 기회를 줄 용의가 있다”며 “첫술에 배가 부를 리는 없겠지만 한 가지씩이라도 단계별로 해결해나간다면 지금보다 관계가 좋아지면 좋아졌지 더 나빠지기야 하겠는가 하는 것쯤은 미국도 깊이 숙고해보아야 할 것”이라는 등의 입장을 강조하며 회담 취소 재고를 촉구했다.
김 제1부상은 이번 담화에 대해 ‘위임’에 따른 것이라고 밝혀 사실상 김 위원장의 입장을 대변한 점을 강조했다. 북한이 이번 담화에서 내보인 미국에 대한 유화적이고 공손한 태도는 새 전략 노선인 ‘경제건설 총력 집중’을 위해 북미정상회담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은 지난달 20일, 남북 정상회담(27일)에 앞서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노선 체제를 기존의 ‘핵·경제 병진노선’에서 ‘경제건설 총력 집중노선’으로 전환한 바 있다. (사진: NEWSIS)
도현준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