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의 증시 불안이 계속되는 가운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중국 정부의 대규모 부양책이 최근 중국 증시 패닉을 초래했다"며, "지방정부 부채 등의 구조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중국 증시 위기가 계속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10일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과거 부양책으로 발생한 악성 채무를 재조정하기 위해 주식시장 활성화에 주력했지만 당초 목표한 기업자본구조 개편은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중국 정부는 2008년 리먼브러더스 파산 사태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확산되자 경기 부양을 위해 4조위안(약 727조원)을 풀어 대형 인프라 건설 등 개발 사업을 독려했습니다. 당시 지방정부와 국유기업들은 무분별한 개발사업을 시작했고 이들에게 자금을 제공한 은행권은 악성채무만 떠안게 됐습니다.
정부는 이들 채무기업들이 주식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해 자본구성을 재편할 기회를 주기 위한 방편으로 최근 수년간 증시 친화정책을 추진하였고 많은 투자자들이 당국의 증시 띄우기에 고무돼 증권가로 몰려 들었습니다.
이와같은 부양책의 영향으로 중국 증시는 지난달 중순까지 최근 1년간 150% 상승했지만 애초 중국 지도부가 기대한 채무조정 효과로는 이어지지 않았습니다.
WSJ는 "중국의 2008년의 부양책과 현재의 증시 안정책이 모두 장기적 부작용을 초래한 것은 당국이 경제적 위기를 정치적 도전으로 보기 때문"이라면서, "해결방식을 바꾸지 않는다면 또 다른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2001년 엔론 회계부정 사태를 미리 경고했던 월가의 전설적 투자가인 제임스 채노스 키니코스 어소시에이츠 회장은 WSJ에 "아직 진짜 위기는 오지 않았다"며, "중국의 신용 증가세가 경제성장을 웃도는 한 수개월에서 수년 안에 더 큰 위기가 닥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중국 관영 차이나데일리는 이날 '증시 폭락이 부동산 시장에 타격을 가하고 있다'란 제목의 기사를 통해 "상하이의 부동산 중개업체 등에는 집을 맡기고 대출을 받은 돈으로 주식 투자에 나선 개인들이 최근 증시 폭락으로 손실에 처하자 아파트나 빌라를 급매물로 내놓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