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제/국내
특집
기획
연재
미디어/방송
션윈예술단
참여마당
전체기사
글·그림 : 타타오글이라는 단어는 원래 글(契)입니다. 손에 끌을 들고 쓱쓱 쓰는 모습이지요. 붓이 나오기 전의 쓰는 도구가 바로 끌이었습니다. 사실 끌의 고어가 글입니다. 그러니 끌로 그은 무엇이 글이지..
글·그림 : 타타오무소유(無所有)는 무슨 뜻일까요?가진 바 없다….라고 많이들 이해하실 겁니다. 또 누구는 법정스님의 수필집 제목이라고 답하시겠죠? 이 세 글자 단어를 이해하는 폭과 깊이가 사람마다 매우..
▲ [사진=온라인 커뮤니티]글 : 이도진(李道真)[SOH] 중화문화는 일체(一體)이기에 중화신전문화를 학습하려면 반드시 전체관・전식관(全息觀)이 있어야 하며 반드시 오성과 근기가 좋아야 한다. ..
▲ [사진=온라인 커뮤니티][SOH] 서유기 이야기가 션윈(神韵) 무대에 재현될 때면 그 안에 담긴 오묘한 중화신전문화(中華神傳文化)가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시대에 인류의 내면세계에 깨달음을 준..
▲ [사진=온라인 커뮤니티][SOH]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는 것에 대해 우리는 흔히 '허심(虛心 · 마음을 비운다)'이란 단어를 사용한다. 원래 이 말은 위징이 당 태종에게 간언한 10가지 상소에서 했던 말이다...
▲ [사진=온라인 커뮤니티][SOH] 세상 어떤 일이든 흔히 다 얻는 것이 있으면 반드시 잃는 것이 있기 마련이다. 이것은 하늘의 이치다. 명대(明代)의 학자이자 정치가 유백온(劉伯溫)의 문장 《어초문답(漁樵..
▲ [사진=온라인 커뮤니티][SOH] 명조(明朝) 만력 연간(1573~1620년), 복건 연평부(延平府 지금의 복건성 남평南平시 연평구)에 임(林)도인이라고 있었는데 아주 신기했다. 모두들 그의 본관과 이름을 몰라 그..
14. 사서삼경에 박힌 보석... 사무사(思無邪) 글·그림 : 타타오 (유튜브 : 타타오 서재) [SOH] 성인(聖人)으로 알려진 공자는 무엇으로 제자들을 가르쳤을까요? 그는 전래의 시(詩)를 정선..
13. 낙이불음(樂而不淫)글·그림 : 타타오 (유튜브 : 타타오 서재)▲ 樂而不淫(고대문자) [SOH] ‘즐길 락(樂)’은 내포가 풍부한 한자입니다. 고대문자로 보면 악기의 형상도 보이는데, 그래서 ‘풍류 악(樂)’으..
12. 잡다함 넘어서기글·그림 : 타타오 (유튜브 : 타타오 서재)[SOH] '잡다(雜多)'라는 단어는 일견 어수선해 보이지만 우러나온 국물 맛이 좋은 단어입니다.잡됨이 많은 것이 잡다(雜多)일 텐데요. 그러면 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