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05(토)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해체 공산당 문화-(36) 제3장4절 교과서를 이용한 당문화주입
 
  
2008-05-07 08:14:42  |  조회 10604


(나)주선율(主旋律)과 다양화
80년대 이래, 중공의 경제 개혁에 따라 영화계는
기업식 관리와 경쟁방식을 도입하고자 시도했습니다.
현재 중공이 대륙에서 상영하는 국산 영화 중 약 25%는 소위 ‘주선율(主旋律)’ 영화고, 70%는 오락영화이며 5%는 예술영화입니다.
하지만 영화의 선전기능은 결코 약화되지 않았고
단지 더 복잡하고 정교한 형식을 취했을 뿐입니다.

우선 주선율 영화는 여전히 당문화(黨文化)를 주입하는 몇가지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첫째, 중공은 정책적으로 주선율 영화에 대한 높은 투자, 대규모 제작, 최고 당정(黨政)기관에서 서류 발행, 각급 조직의 관람을 보장합니다.
영화『대결전(大决战)』에는 수천 만 위안이 투자됐으며,
촬영장소가 13개 성(省)에 이르고,
촬영에 참여한 군중만 해도 15만이 넘어
이 작품을 중공이 얼마나 중시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중공 중앙선전부, 조직부, 국가교육위원회, 라디오영화TV부, 문화부, 전국노조, 전국부녀연합회, 공청단(共靑團) 중앙 등의 기관에서는 주선율 영화 상영에 대한 연합통지를 보내 각급 기관에서 단체관람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둘째, 주선율 영화는 80년대 이후 하이테크화되고, 더 정교해졌으며, 인정에 호소하는 경향을 띠게 됩니다.
80년대 이후 문호를 개방하면서 관객들의 식별능력이 높아져서
예전처럼 중공이 적나라하게 날조한 거짓말이 더는 통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중공의 어용 영화인들은 관객 심리를 연구하여
일련의 복잡한 주선율 책략을 발전시켰습니다.
소위 ‘혁명역사 소재’의 영화 속 창작자는
의도적으로 거짓 다큐멘터리를 만들어
역사에 대한 경향적인 진술을 마치 객관적인 역사인 것처럼 둔갑시켰습니다.

전쟁 영화 속에서는 큰 장면의 표현을 중시하여
진짜 같은 전쟁 화면으로 관객의 이성적인 판단을 흐리게 함으로써
역사인지, 서사인지 분별하지 못하게 했습니다.
영화 속에서 ‘혁명지도자’는 생동감 있게 표현하여
그들의 가족애, 애정, 우정 등을 보여줌으로써 관객과의 거리를 좁혔습니다.
‘당의 적’도 예전의 영화처럼 무능한 모습이 아닌
일정한 재능과 인격이 높은 사람으로 표현했습니다.
그럼에도 역사의 대결 속에서는 중공에 패배함으로써
중공 지도자가 그들보다 더 높다는 것을 부각시켰습니다.  

『장쩌민 그 사람』이란 책에는 중공의 주선율 영화수법의 정교함을 증명할 수 있는 한 가지 기록이 있습니다. 장쩌민이 일찍이 영화 『개국 대전』을 초청받아 관람한 적이 있습니다. 영화 속의 일부 장면들이 그의 호기심을 유발했습니다.
왜냐하면 그 장면들이 보기에는 극히 진귀한 다큐멘터리 같았기 때문입니다.
장쩌민은 감독에게 그런 장면들을 어디에서 찾아냈냐고 물었습니다.
감독은 “그런 장면들은 찾아낸 것이 아니라 방금 촬영한 것입니다. 기술적으로 특수한 처리를 하면 다큐멘터리처럼 보입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장쩌민은 이 말을 듣고 매우 만족해하면서 영화를 다 보고 나서
“진짜와 가짜를 뒤섞어 놓으니 나마저도 속아 넘어갔다.”라고 말했습니다.

중공이 역사에서 저지른 죄악들이 갈수록 많이 폭로됨에 따라
또 현실적으로 여러 차례 곤경에 처하면서
중공은 각기 다른 선전 책략을 취해 자신을 변호해야만 했습니다.
일부 영화 속에서 중공지도자는 비록 숭고한 인격을 갖추었지만
무정하고 필연적인 역사의 흐름 앞에서는 어쩔 수 없는 비극적인 인물로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관객들로 하여금 그들이 역사상에서 범한 죄를 용서하게끔 이끌어 내는 동시에
그들이 보통사람의 즐거움을 느끼게 하여 현존 사회질서에 더 만족하게 합니다.  

그 밖에 광범하게 채용하는 수단은 ‘선정(煽情)’입니다.
영화 『덩샤오핑(鄧小平)』의 감독은
“우리는 반드시 덩샤오핑의 위대한 혁명 사업을 거대한 감정의 파문으로 변화시켜
일체 이성적인 사건을 감성적인 정서로 변화시켜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예를 들어, 영화 『초유록(焦裕禄)』과 『공번삼(孔繁森)』에는
많은 군중들이 장례식에 참여 하는 장면이 있습니다.
스크린에 나오는 군중들의 애도장면은 극장에 있는 관객들을 감동시켜,
관객들로 하여금 주인공의 ‘고상한 도덕’에 감동된 나머지,
그들이 대표하는 ‘당의 형상’을 인정하게 하는 것입니다.

셋째 오락영화도 마찬가지로 당문화를 주입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영화통신(電影通訊)』 1991년 제5기 평론 문장에서
“일종의 창작 정신으로서 주선율은 양적인 개념이 아니고,
다수 작품과 소수 작품의 관계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며,
이 소재와 저 소재의 관계를 가리키는 것도 아니다.
어떠한 창작이든 배척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체 작품의 창작을 지도하는데 침투할 것을 요구한다.”라고 했습니다.

일부 영화는 오락적인 겉포장 때문에 그 속의 당문화는 매우 잘 은폐되어 있습니다.
관객들은 역사전기, 사랑이야기, 혹은 시각적인 기이한 광경에 감탄하면서
부지불식간에 당문화의 관념과 흥취를 주입 당합니다.
영화 『영웅(英雄)』은 2억 5천만 위안을 들여
아름답기 그지없는 영화언어로 독재 권력과 폭력정복을 찬양했습니다.
『예쁜 엄마(漂亮媽媽)』에서는 실직자의 비참한 처지를 신체적인 원인 탓으로 돌려
간접적으로 중공의 정책 잘못으로 인한 도시 근로자들의 심각한 실업 사실을 은폐했습니다.
더 많은 영화들은 이야기를 날조하여 중공 대신 민족주의를 선동합니다.

넷째, 중공은 영화를 이용하여 전통문화와 전통인물을 낮게 평가했습니다.
장기간 당문화의 선전과 주입으로 인해 대다수 중국인들은
이미 원래의 전통문화와 전통사회의 모습을 모르고 있습니다.
80년대 이후 많은 영화인들이 비록 당문화에 반항하려고 시도했으나,
그들 역시 이미 공산당 통치하에서 자랐기 때문에
단지 당문화의 논리로 전통사회의 진실한 모습을 추리할 뿐이었습니다.
그래서 많은 영화 속에 등장하는 전통 중국 사회는
봉폐되고 억압적이며 야만스럽게 표현되었고,
마치 중공이 통치한 후에 사회가 진보하고 개화된 것처럼 보이게 했습니다.
사실 이 역시 진화론의 논리에 따라 추리한 것으로
다른 일종의 방식으로 당문화를 반복한 것입니다.  

다섯째, 존재하지 않는 곳이 없는 당문화는
이미 영화의 심미품격의 요소가 되어 일체 영화, TV작품 속에 침투하였습니다.
또한 옛 향수를 그리워하는 관객들의 정서를 이용하여
사람 마음에 당문화의 수갑과 족쇄를 단단히 채웁니다.



對중국 한국어 단파방송 - SOH 희망의소리
11750KHz, 중국시간 오후 5-6시, 한국시간 오후 6-7시

http://www.soundofhope.or.kr




1254 해체 공산당 문화-(42) 제4장 사상이 개조된 후 사람들의 표현 2008-06-02
1253 해체 공산당 화-(41) 제4장 사상이 개조된 후 사람들의 표현 2008-06-02
1251 해체 공산당 문화-(40) 제3장4절 교과서를 이용한 당문화주입 2008-05-23
1250 해체 공산당 문화-(39) 제3장4절 교과서를 이용한 당문화주입 2008-05-23
1248 해체 공산당 문화-(38) 제3장4절 교과서를 이용한 당문화주입 2008-05-20
1247 해체 공산당 문화-(37) 제3장4절 교과서를 이용한 당문화주입 2008-05-19
1243 해체 공산당 문화-(36) 제3장4절 교과서를 이용한 당문화주입 2008-05-07
1242 해체 공산당 문화-(35) 제3장4절 교과서를 이용한 당문화주입 2008-05-07
1241 해체 공산당 문화-(34) 제3장4절 교과서를 이용한 당문화주입 2008-05-07
1239 해체 공산당 문화-(33) 제3장4절 교과서를 이용한 당문화주입 2008-05-03
1228 [해체 공산당문화] 제32회 제3장 4절 교과서를 이용한 당문화주입 2008-04-18
1214 [해체 공산당문화] 제31회 제3장 4절 교과서를 이용한 당문화주입 2008-04-05
1073 ‘해체 당문화’ 한글출판 기자회견 2007-04-19
963 [해체 공산당 문화] (30) 제3장- 당黨 문학을 이용한 중공 주입의 몇 가지 특징 2008-02-02
962 [해체 공산당문화]- (29) 제3장 당黨 문학을 이용한 중공 주입의 몇 가지 특징 2008-01-18
  
1234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677,997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