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나라 시대의 작가 증언동이 쓴 <소두봉>에는 다음과 같은 실화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완평(현 북경 풍대구)에 단유익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는 고리대금업자로 어려운 사람들의 사정을 일체 봐주지 않았으며 한 푼의 이자도 포기하는 일이 없었습니다. 그뿐만이 아니라 급전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선이자를 떼었는데 예를 들면 이러했습니다.
당신이 그에게 백 원을 빌리면 삼십 원을 선이자로 떼고 70원만 줍니다. 그리고 갚을 때에는 백 원의 원금에 다시 이자를 내야 했습니다. 사람들은 그를 계산을 잘 한다는 의미로 단주파라고 불렀습니다.
단주파는 마음에 드는 물건이 있으면 그것이 설혹 주인이 있는 것이라도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는 치밀하고 야비하며 몰인정한 수법으로 큰 부자가 되었습니다.
그는 아내와 네 명의 첩. 아들 셋에 외딸과 함께. 고래등 같은 집에서 온갖 골동품을 사들이며 호사를 누렸습니다. 그의 기세는 날로 드높아갔고 돈을 빌리러 온 사람들에게는 더욱 지독하게 굴었습니다.
어느 날 단주파가 대청에서 낮잠이 들었는데 꿈속에서 푸른 옷을 입은 관리가 커다란 주판을 들고 와서 탁자 위에 놓았습니다. 그 주판알은 자두만큼 컸습니다. 주판의 가로목에는 백. 십. 분. 양. 의 숫자 대신 처. 첩. 자. 녀. 재산. 농토. 등의 글자가 씌어있었습니다.
“자, 지금부터 네가 약탈한 재물을 하늘에서의 계산 방식으로 셈을 할 것이다.”
푸른 옷의 관리는 험상궂은 웃음을 지으며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주판알을 탁탁 튕기기 시작했습니다. 주판 알이 하나 튕겨질 때마다 단주파가 모질게 굴었던 일들이 영상으로 스쳐지나 가면서 처. 첩. 자. 등의 아래에 있던 주판알들이 사라져 버렸습니다. 그렇게 모두 사라져 버리고 여 자 밑의 한 알의 주판알만이 남았을 때 푸른 옷의 관리는 말했습니다.
“설사 이 여자를 없앤다 해도 당신 죄업의 셈은 끝나지 않을 것이오, 그러나 오늘은 이만하겠소 나머지는 다음에 다시 오지요.”
그러면서 푸른 옷의 관리가 커다란 주판을 단주파에게 내밀었을 때 그는 잠에서 깨어났습니다.
그 날부터 단주파 집에 원인을 알 수 없는 전염병이 돌아 단주파의 가족이 모두 죽고 딸 하나만 남았습니다. 그 후 단주파는 거지가 되었으며 딸은 먹고 살기 위해 창기가 되었다고 합니다.
이글은<소두붕>에<큰 주판>이라는 제목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단주파는 작은 주판으로 사리사욕을 채웠지만 그 죄업은 하늘의 큰 주판으로 갚아야 한다는 의미일 것입니다.
사람의 셈은 하늘의 셈보다 못하다. 이것은 영원불변의 진리입니다.
對중국 한국어 단파방송 - SOH 희망의소리
11750KHz, 중국시간 오후 5-6시, 한국시간 오후 6-7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