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0-10-10 17:48:58 | 조회 9384
중국문화 웨이션머?
혼인은 개인의 기호나 선택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하늘의 이치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일찍이 선현들은 혼인을 ‘하늘의 이치를 따르고 인정의 마땅함에 합하는 것’(順天之理 合人情之宜)이라 여겨 엄숙하고 신중히 여겼다.
중매인을 월하노인이라 부르는 까닭은 어디에서 시작되었을까?
중국어에서 ‘월하노인(月下老人, 달빛 아래 노인)’은 인간 세상에서 혼사를 전문적으로 주관하는 중매인을 말하며 ‘월하노(月下老)’ 또는 ‘월로(月老)’라고도 부른다.
우리나라 전설에도 남자는 푸른 실, 여자는 붉은 실로 연결돼 있고 이 실을 하나로 엮으면 부부가 된다는 청실홍실 이야기가 전해져 함을 들일 때 청실과 홍실을 함에 넣어 부부의 금슬을 상징하게 됐다.
사실 이 이야기의 오리지널 버전은 당나라 때 이 복언이 지은 ‘속현괴록(續玄怪錄)’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지금으로부터 약 1천4백여 년 전, 당나라 두릉(杜陵) 지방에 위고(韋固)라는 남자는 어려서부터 일찍 아내를 맞이하고 싶었으나 뜻대로 되질 않았다. 어느 날 여행을 하던 중, 송성(宋城) 남쪽의 객점에 묵게 되었다. 그날 밤, 쉽게 잠이 들지 않아 산책에 나선 위고의 눈에 한 노인이 달빛 아래에서 열심히 책을 뒤적이는 모습이 들어왔다. 노인의 옆에는 또 큰 포대가 하나 있었는데 그 속에는 붉은 색 실이 가득했다.
호기심을 느낀 위고는 노인에게 다가가 정중히 물었다.
“어르신, 무슨 책인데 그렇게 열심히 보십니까?”
"천하 남녀의 혼인에 관한 인연을 기록한 책이라네.”
이 말에 더욱 호기심을 느낀 위고는 또 한 번 물었다.
“그럼 포대에 든 이 홍실은 어디에 쓰시는 겁니까?”
(노인은 미소를 지으며) “이 홍실은 장차 부부가 될 남녀의 손발을 묶는데 쓰지. 그 두 사람이 설사 원수의 집안이거나 이역만리 떨어져 있거나 또는 빈부차가 아무리 심할지라도 이 홍실로 한데 묶어놓기만 하면 결국에는 부부가 된다네."
이것이 바로 ‘천리의 인연이 한 가닥 줄에 연결되어 있다’는 말의 유래다.
노인의 말을 들은 위고는 그 말을 도저히 믿을 수 없었다. 오히려 자신에게 농담을 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이 괴상한 노인이 궁금해 질문을 하고 싶어졌다. 그 순간 노인은 몸을 일으키더니 책과 포대를 챙겨 시장을 향해 걸어갔다. 위고는 노인을 쫓아갔다.
시장 쌀가게에 도착한 두 사람의 눈에 한쪽 눈을 잃은 여인이 세 살 가량의 여자아이를 안고 있는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노인이 위고에게 알려주었다.
“저 아이가 바로 장래 자네의 아내가 될 사람이라네.”
이 말을 들은 위고는 노인이 일부러 자신을 모욕하려 한다고 여겨 화를 내었고, 집에 돌아온 후에도 분을 참을 수 없었기에 하인을 시켜 아까 본 여자아이를 죽이라고 사주했다. 그리되면 그 아이는 장차 자신의 아내가 될 수 없으리라 생각했다.명령을 받은 하인은 곧장 쌀가게로 달려가 아이를 칼로 찌르고 달아났다. 위고는 다시 노인을 찾아가 책의 내용이 변했는지 확인하고 싶었지만 노인은 이미 흔적을 감춘 뒤였다.
눈 깜짝할 사이에 14년이 흘렀다.
전투에서 눈부신 공을 세운 위고는 상주 자사(相州刺使) 왕태(王泰)의 눈에 들었다. 왕태는 예쁘기로 소문난 자신의 금지옥엽 딸을 위고의 아내로 주고 싶어 했다. 애석한 것은 그녀의 미간에 상처가 하나 있었다는 점이다.
위고는 이상하게 느껴 장인이 될 왕태에게 물어보았다.
“따님 미간의 상처는 어쩌다 생긴 것입니까?”
“이 아이의 목숨과 바꾼 것이지. 14년 전 송성에 있을 때 유모가 아이를 안고 시장에 갔다가 갑자기 웬 미친놈에게 칼을 찔렸다네. 다행히 아이의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지만 이마에 이런 상처를 남겨놓았다네. 그나마 불행 중 다행이라고 할 수 있지!”
순간 위고는 이 말을 듣고 깜짝 놀랐다. 그는 곧 14년 전에 있었던 일을 떠올렸다. 위고는 순간 놀라움과 부끄러움, 의혹이 교차했다. ‘설마 그녀가 정말 내가 살해하라고 시켰던 그 아이란 말인가?’
위고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시 질문을 던졌다.
“혹시 그 유모가 애꾸가 아니었나요?”
왕태는 그의 안색이 변한 것을 보고 이상히 여기며 답했다.
“그렇다네, 분명 한쪽 눈이 먼 아낙이었지! 그런데 자네가 어찌 그 사실을 아는가?”
위고는 14년 전 노인이 말했던 예언이 현실로 되자 놀라움에 한동안 말을 잇지 못했다. 왕태도 그의 말을 듣고는 깜짝 놀랐다.
위고는 당시 노인이 자신에게 허튼 소리를 한 것이 아니며 하늘의 뜻은 어길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혼인의 인연은 신이 결정하는 것으로 두 부부는 서로를 소중히 여겨 평생 사이좋게 살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일은 송성에 전해졌으며 현지 사람들은 홍실 포대를 지닌 노인을 월하노인이라 불렀으며 월하노인을 기념하려고 남쪽 객점을 ‘정혼점(定婚店, 혼인을 결정하는 객점)’이라 고쳐 불렀다.
'천리의 인연이 한 가닥 줄에' 유래가 된 월화노인이 훗날의 아내를 예견해 준 이야기입니다.
對중국 한국어 단파방송 - SOH 희망의소리
11750KHz, 중국시간 오후 5-6시, 한국시간 오후 6-7시
http://www.soundofhope.or.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