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10(목)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전통문화] 억울함을 풀어주고 덕을 쌓으니 자손이 복을 받아
 
  
2008-10-08 12:35:04  |  조회 8990


글/청언(清言ㆍ明慧網 작가)


[SOH] 명나라 사람 상로(商輅)의 부친은 일찍이 엄주(嚴州) 관아에서 아전으로 일하고 있었다. 그는 늘 동료들에게 공익을 받들고 법을 준수할 것과 억울하게 남을 해치지 말 것을 권했으며 관원들은 모두 그의 말을 따랐다. 이에 엄주에 소속된 각 현(縣)에서 엄주부로 압송한 죄인들이라도 오로지 억울한 사정이 있기만 하면 그는 반드시 죄인들을 대신해서 억울함을 풀어주고 그들을 도와주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해서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  

어느 날 밤, 태수가 멀리 바라노니 아전의 집에서 찬란한 빛이 나오는 것을 보았다. 가서 조사해보게 했더니 불이 난 것이 아니라 이상하게 생각했다. 다음날 아침 태수가 아전에게 어젯밤에 집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묻자 그는 “저희 집에서 아들을 낳았습니다.”라고 대답했다. 태수는 어제 본 기이한 빛을 연상하고는 마음속으로 상(商) 씨 집안에 반드시 귀한 아들이 태어났을 거라고 생각했다. 한 달이 지난 후 특별히 아이를 데려와 보게 했는데 한편으로는 기이하게 여기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부러워했다.

이 아전의 집에서 출생한 아이가 바로 상로인데 자는 홍재(弘載)이고 호가 소정(素廷)이다. 정통(正統) 10년에 향시(鄕試), 회시(會試), 전시(殿試)에서 연속으로 3번이나 장원에 급제했다. 명나라 3백년 역사에서 연속으로 3번의 과거에서 모두 장원에 급제한 사람은 오직 상로 한 사람 뿐이다. 상로는 나중에 내각의 중신이 되었고 관직이 이부상서에 올랐는데 사람들은 그를 ‘삼원(三元) 재상’이라고 불렀다. [역주: 향시 장원을 해원(解元), 회시 장원을 회원(會元)이라고 하는데 여기에 황제 앞에서 보는 마지막 전시에서도 장원을 차지했기 때문에 3원이라고 한 것.]

상씨 집안에서 자손이 이렇게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사람들이 모두 그 부친이 다른 사람들의 억울함을 풀어주고 널리 음덕을 쌓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對중국 단파방송 - SOH 희망지성
http://www.soundofhope.or.kr

1348 팔선열전-여동빈-(1) 2009-01-23
1347 【傳統文化)】나라와 백성에게 해를 끼친 죄는 용서할 수 없다 2008-12-19
1346 [전통문화]만사에는 원인이 있으니 관대하게 용서하며 원한을 풀어야 한다 2008-12-19
1345 [전통문화] 대당고리-대당의 북치는 병사들 2008-11-06
1344 [전통문화] 억울함을 풀어주고 덕을 쌓으니 자손이 복을 받아 2008-10-08
1343 [전통문화] 음덕을 쌓아 복을 받은 서범애 2008-10-08
1342 다른 공간에서 본 좋은 책을 읽는 중요성 2008-09-09
1341 신전문화】스승을 공경한 안회(顔回) 2008-09-08
1340 어두운 곳에서도 덕을 쌓으며 의리를 중히 여기다 2008-09-08
1339 【신전문화(神傳文化)】악비가 말을 논한 것의 계시 2008-07-16
1337 전통문화 강자아2-곧은 낚시로 천하를 낚는다. 2008-06-07
1336 신운예술단의 공연으로 천지에 정기가 드날리누나 2008-04-18
1334 잘못을 고치고 선을 향하니 마음에 따라 환경도 좋아져 2008-04-05
1333 곧은 낚시로 천하를 낚는다, 조제사주, 태공망 여상1 2008-03-29
1332 ‘신운(神韻)’에 담긴 세 가지 의미 2008-02-09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898,741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