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11(금)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신운(神韻)예술단 의상의 비밀
 
  
2008-01-18 11:00:12  |  조회 9694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전통문화 옛 사람에게 배운다 유인순입니다.
.......................................................................................................................

한국을 대표하는 의상이 한복 이듯이 나라마다 그 나라를 상징하는 전통의상이 있습니다.
한복은 세계에서도 손꼽힐 만큼 색상이 화려하고 품위가 있으며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어 한민족의 자랑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의상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중국정통문화의 정수를 재현하는 공연으로 명성이 높은 신운예술단의 무대의상에 대해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먼저 신운예술단에 대한 소개가 있어야 겠지요?

신운예술단은 정통문화의 정수를 재현하고 이를 인류에게 펼쳐 보이기 위해 미국에서 창립된 예술단체입니다. 5천년의 유구한 신전문화(神傳文化)와 정통인류문화(正統人類文化)를 주제로 한 경이로운 작품들을 통해, 가장 선(善)하고 가장 아름다운(美) 프로그램을 관중들에게 선사하고 있습니다. 신운예술단은 2005년과 2006년에 미국과 캐나다 주요도시에서 순회공연을 했고, 2006년 2월에는 미국 빌보드(Bilboard) 잡지에 전국 대형무대연출부문 7위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2007년에는 뉴욕, 시카고, 토론토, 동경, 시드니, 타이완, 서울 등 32개 도시에서 80여 차례 순회공연을 통하여 20만여 명의 관객에게 아름다운 전통문화를 선보였습니다. 2008년 전세계순회 공연에서는 아시아. 호주. 유럽. 남미. 북미의 5개 대륙 70여 개 도시에서 200여 회 공연을 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60만여 관중의 관람이 예상된다고 합니다.

중국 공산당의 전통문화 말살 정책으로 잃어버린 전통문화의 역사를 되살리려는 노력의 결과 모든 의상을 역사자료를 근거로 많은 전문가들이 오랜 기간 엄격히 재현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소중한 작업들이 공연에서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고 극중 인물들의 모습이 의상을 통해 더욱 생생하게 살아났습니다.

신운예술단의 의상디자이너 리파홍 여사는 의상 제작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었습니다.

“공연 중에 중국 역대 왕조의 이야기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각 조대(朝代)에 맞은 의상을 준비해야 했습니다. 그러므로 의상도 역사자료의 기재와 고서(古書), 옛 그림 중에서 발굴된 자료에 근거해 엄격하게 원본을 정하게 됩니다. 의상 제작팀에서 참고한 서적 중에는 상하이(上海) 대학 교수들이 출토된 문물 중에서 끊임없는 고증을 거쳐 제작한 『중국복장사(中國服裝史 The History of Chinese Clothing)』도 포함되었습니다. 이 책의 저자들은 문화혁명 기간에 ‘낡은 4가지를 타파’한다는 구실로 수많은 전통문물들이 훼손되기 이전부터 자료를 준비해왔으며 책 속의 많은 내용들은 모두 근거가 있는 것입니다.”

이외에 보다 직접적인 자료는 중화문화의 보고(寶庫)인 돈황(敦煌) 벽화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합니다. 돈황 석굴은 남북조(南北朝)시기부터 당(唐)나라에 이르기까지 여러 사람들이 그린 것으로 벽화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복장은 대개 당시의 가장 전형적인 양식입니다. 돈황 이외에도 고대로부터 전해져 온 조각, 옥그릇, 그릇 등도 참조하여 의상을 제작하였다고 합니다.

비록 옷감이 많이 손상되긴 했지만 이런 문물들을 통해 당시 의복의 양식과 모양, 심지어 색깔까지도 복원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지금 영화나 텔레비전에 등장하는 많은 고대 의상들은 현대인들의 미적 감각이 가미된 양식으로 의상을 제작할 때 원래 것들을 참고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무대의상은 스펙태큘러에 출연하는 등장인물의 역할에 근거해 제작을 하는데, 예를 들어, 노동하는 사람에겐 짧은 소매의 옷, 귀족에게는 궁중의상, 일반 백성은 백성의 옷, 관료는 등급에 따라 옷의 색깔과 양식이 모두 바뀝니다. 물론 무대의상은 극의 필요에 따라 적당히 꾸미거나 장식을 가해야 합니다.

지금의 젊은이들이나 해외 화교들, 외국인들은 중국 전통의상을 말하면 단지 청나라 시대 의상(가령 치파오)만을 생각합니다. 그러나 청대 의상은 중국 고대의상을 대표할 수 없으며 중국 전통의상은 기본적으로 한(漢)나라 시대 스타일로 품이 넓은 웃옷에 넓은 소매를 특징으로 합니다. 하지만 한인(漢人) 이외의 다른 민족들은 의상도 다르고 설령 같은 한인이라 해도 왕조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당(唐), 송(宋), 원(元), 명(明), 청(淸) 등 중국의 역대 왕조는 자신만의 독특한 문화가 있었고, 경제, 문화와 시대사조도 의상에 영향을 끼쳤습니다. 그 결과 중국 의상은 각 조대(朝代)별로 분명한 특색을 지니게 되었습니다.

리판훙은 다른 왕조들과 비교해 볼 때, 당나라 시대 의상은 가장 박대(博大 넓고 크다)하다고 할 수 있으며 전반적인 풍격이 대범하고 화려하면서도 개방적이라고 말했습니다.

당 왕조가 창립되기 전에, 중국은 혼란하고 전쟁이 잦았던 남북조시대를 거쳤기 때문에 당시 사람들은 생활이 불안정했습니다. 이는 남북조시대 의상에 등장하는 꽃이 비교적 거친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당나라 시대는 사회가 안정되고 경제적으로도 풍족해 의상에 포함된 꽃도 풍만하고 화려하면서도 온화하며, 장식 문양에도 우아하고 화려한 귀족풍이 배어나온다고 합니다.

때문에 당나라 시대 의상 스타일도 이런 시대사조의 영향을 받아 일반적으로 소매가 크고 겉옷은 투명하며, 안에 입는 옷은 가슴과 어깨를 드러냈다. 당시에는 의상만 귀족적이고 화려했을 뿐 아니라 머리 모양도 아주 다양했습니다. 특히 여자들의 머리장식은 아주 다양했으며 궁중 스타일도 자주 변화했습니다. 머리카락을 흘러내리면 바닥에 끌릴 정도로 길고 풍만했고, 당시 여자들은 머리를 높게 세우고 장식하는 것이 유행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궁중 풍속이 너무 사치스러우니 좀 절제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대신도 있을 정도였습니다.

당조(唐朝)의 문예와 시가(詩歌)는 상상력이 풍부했고 당시 중국인들은 아주 개방적이었습니다. 의상도 개방적이었는데 이는 당시의 정치, 문화와 관계가 있으며 국가의 흥성함을 반영하는 것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당나라 의상의 또 다른 특징은 다양한 민족의상의 요소를 흡수했다는 점입니다. 당나라는 서역, 인도, 기타 아시아 여러 나라들과 빈번한 교류가 있었고 아주 많은 외래문화를 받아들였다. 페르시아와 인도의 문양도 아주 유행했으며 서북쪽 이민족의 복장인 호복(胡服)도 흔히 볼 수 있었습니다.

송 대(宋代)에 이르러 성리학이 사상계를 장악하면서 의상에도 변화가 생겼는데, 이전에는 풍만한 것을 아름답다고 여겼으나 시대사조의 영향으로 날씬하고 가느다란 것을 추구하게 되었고 의상 역시 더 이상 예전처럼 화려하지 않았다. 꽃도 작게 변했고 여인들은 날씬한 것을 아름답게 여겼습니다.

이 시대에 가장 유행한 의상은  배자(背子)라고 하는 소매가 크고 앞섶이 평행하며 겨드랑이 아래가 열려 있어 입기에 편했습니다. 긴 겉옷 외에 소오(小襖)라고 하는 짧은 저고리도 유행했는데 이 경우 아래에는 긴 치마를 입었습니다. 당나라 양식을 계승한 것으로는 긴 소매가 달린 셔츠 위에 반소매 옷을 입는 것입니다. 송나라 시대에 남자들은 호복(胡服)을 입지 않았으며 둥근 칼라나 또는 경사진 옷깃을 했습니다.

한편 유가문화의 영향이 컸던 중원(中原)과는 달리 소수 민족들의 의상은 색채 대비가 강렬했으며 심지어 거칠고 호방했습니다. 원나라와 청나라는 모두 변방에 있던 이민족이 중원을 장악하고 통치한 왕조로 한인(漢人)들은 한복(漢服)을 입었고 호인(胡人)들은 호복(胡服)을 입어 민족에 따라 서로 다른 의상을 착용했습니다.

이처럼 원과 청이란 두 왕조가 중원을 다스리긴 했지만 중원의 문화까지 동화시키진 못했고 오히려 모두 중국 문화에 동화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청나라의 기반을 공고히 한 강희제(康熙帝)는 중원문화를 너무나 사랑한 나머지 만주족들에게도 중원문화를 배우게 했습니다. 청나라 때도 한인들은 한복(漢服)을 입었고 치파오(旗袍)를 입은 것은 주로 만주족이었습니다.

이번 스펙태큘러 의상 제작팀에는 패션업계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은 물론이고 이미 은퇴한 전문디자이너들이 자발적으로 동참했습니다. 의상 제작팀은 우선 연출자를 청해 공연내용에 대한 상세한 강의를 들었고 공연에 나오는 다양한 동작들을 이해한 후 다시 각 프로그램의 역사적인 배경을 연구한 후 관련된 1차 자료를 수집했습니다.  

리 여사는 의상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출토된 문물, 사료, 조각에서 가장 원시적인 정보를 찾음으로써, 각 시대를 대표하는 가장 정확한 의상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가장 정확한 근원에서 시작해야만 보다 많은 원천(源泉)이 있을 수 있고 영감을 일깨우며 상상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습니다.

현대의 디자인은 색의 균형과 다이내믹(dynamics)을 포함해 세부적인 것에 이르기까지 디자인 이론이 있어 의상제작을 지도합니다. 그러나 고대인들은 이런 이론이 없었습니다. 대신 미(美)와 덕(德)이 보편적인 디자인 원리였으며 보기에 편하고 조화로우면 되었습니다. 이번에 스펙태큘러 의상 제작자들은 현대 미학의 관점을 이용해 역사를 재현했고 아름다움 속에서 조화와 균형, 대비를 강조했다.”라고 말했습니다.

당나라 때는 진홍색을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1949년 중공에 의해 공산화된 이후 중국에서 제작되는 사극은 온통 진홍색 핏빛 색 옷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를 보고 원래 중국 사람들은 이런 색을 좋아한다고 잘못 이해하고 있지만 사서(史書)에는 이런 기록이 없습니다.

한편 민간에서 전해진 민간무용은 왕조의 변화에 따라 그리 큰 제한을 받지 않았으며 디자이너는 풍부한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었습니다. 의상을 제작할 때 모두들 고대 양식을 결합하길 원하는데 이렇게 하면 의상이 고상하고 우아해 집니다.

초안이 정해지면 종이로 본을 만들어, 연출, 연극 팀, 스크린 팀, 무대 팀과 교류를 통해 스타일을 결정한 후 실제로 의상을 만들어 입어보고, 의상 디자인에는 기본적으로 어떤 옷감을 사용하는지 정해져 있는데 옷감마다 성능이 다르기 때문에 효과에도 큰 차이가 난다고 합니다. 때문에 해외에서 옷을 제작했지만 옷감은 주로 중국 것을 사용했습니다. 만약 다른 민족의 옷감을 사용하게 되면 모양은 같을지라도 한눈에 차이를 알아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신운예술단의 의상을 디자인하는 데는 하나의 원칙이 있는데, 바로 감각을 자극하는 것보다는 사회에 대해 책임지고 정통문화를 존중한다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 때문에 의상 제작은 역사적인 배경에 부합해야 하고 머리 모양부터 모자에 이르기까지 모두 역사적인 기본형식을 바탕으로 한 위에서 예술적인 처리를 합니다.
...............................................................................................................................................

현대의 소위 ‘과거의 것을 지금 사용’하는 방법은 아주 훌륭하게 보이지만, 원래의 맛을 재현하진 못하며 단지 디자이너의 자신의 개성만을 표현했을 뿐이라는 것이죠. 그러나 신운예술단의 의상 디자이너들은 전통 의상 속에 함축된 중국 전통문화의 아름다음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과거로는 돌아갈 수 가 없습니다. 그러나 조상들이 남긴 발자취는 찾을 수 가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신운공연이 2월22일부터 27일 까지 서울과 부산에서 총7회에 걸쳐 공연 예정이라고 하니 이번 기회를 통해 꼭 한번 중국의 정통문화를 감상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전통문화는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對중국 한국어 단파방송 - SOH 희망의소리
11750KHz, 중국시간 오후 5-6시, 한국시간 오후 6-7시

http://www.soundofhope.or.kr
1331 창힐,신운,천상 2008-02-09
1330 음악의 힘 2008-01-24
1329 음악은 약(藥)의 조상 2008-01-20
1328 [전통문화] 당태종의 아들 교육 2008-01-18
1327 신운(神韻)예술단 의상의 비밀 2008-01-18
1326 [전통문화] 한신 이야기-대인지심(大忍之心)의 한신 2007-12-01
1325 신기한 도인이 명리(命理)를 논함 2007-11-14
1324 하늘의 도는 선량함을 보우한다(전통문화) 2007-10-01
1323 관대하고 예의바른 덕정으로 백성을 다스리다 2007-09-27
1322 인과(因果) - 양무제 이야기 2007-09-14
1320 색욕을 망상만 해도 하늘의 벌을 받는다. 2007-08-10
1319 뇌물을 받고 억울하게 사람을 죽이니 자손에게 화가 미쳐 2007-07-31
1318 차 이야기, 육우가 물을 감정하다 2007-07-16
1317 조상이 덕을 쌓으니 후손이 번창 2007-07-16
1316 송경 이야기 2007-07-16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898,741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