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05(토)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뇌물을 받고 억울하게 사람을 죽이니 자손에게 화가 미쳐
 
  
2007-07-31 03:18:00  |  조회 10581

안녕하세요? 전통문화 ‘옛 사람에게 배우다’ 유인순입니다.

사람들은 흔히 죄를 지은 사람이 지은 죄에 대한 대가를 치르지 않고도 잘 사는 사람들을 보며 하늘은 참~ 공평치 않다고들 말하곤 합니다. 정말로 하늘에서 모르는 걸까요? 고사성어 중에서잉과응보란 말을 잘 아실것입니다.

잉과응보 말 뜻 대로 하자면 죄를 지은 것에 대한 죄 값을 치르는 것인데 죄를 지은 사람은 물론 그의 후손 자손들에게 까지 그 죄가 미친다하니 과연 하늘에서 모른다 말할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오늘 ‘전통문화 옛 사람에게 배우다’ 에서는 조상이 지은 죄를 자손이 값는 이야기로 만들어봤습니다.

청나라 때 강음(江陰)에 유생(俞生)이란 사람이 있었습니다.
건륭(乾隆) 말년에 향시(鄕試)에 참가했다가 첫 시험을 다 치르지 못하고 초열흘 날 날이 밝자마자 물건을 수습해 떠나려 했습니다.

수험생1: 아니? 자네는 답안을 다 적지도 않았는데 왜 벌서 일어나려
         하는가?  유생(俞生):( 매우 상심하고 낙담한 표정)저.. 저 그게..

수험생2: 아니 이보게 얼마나 어렵게 이 곳에 왔는데 이러면 안됀다는 걸 자          
             네가 더 잘알지 않은가? 무슨일인지 어서 털어놓게나

수험생3: 그래 우리는 잠시 같이 시험 준비를 같이 한 동무가 아니던가?
              이렇게 말을 안 하면 너무 섭섭허이~~~

여러 사람들이 재차 캐묻자 그제야 그는 사실을 말하기 시작했습니다.

유생: 원래 저의 부친은 반평생 관리로 있었습니다. 나중에 퇴직하여 집으로 돌아왔는데 아버님께서는 죽기 전에 저희  4형제를 불러놓고 울면서 자식들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유생의 아버지: 내 평생 양심에 꺼리는 일을 하지 않았었는데 한번은 현령으로 있을 때 다른 사람의 이천금(二千金) 뇌물을 받고 두 사람을 억울하게 죽였다. 어제 내가 명부(冥府)에 불려가 심판을 받았는데 본래 법에 따라 당장 참수형을 받아야 했다. 그나마 조상때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한 공덕이 있어 자손 중에 하나만 살아남을 수 있지만 5세대까지 빈천(貧賤)할 것이다. 나의 지옥에서의 고통은 피할 수 없다. 만약 자손들이 공명을 얻으려 한다면 나의 죄에 죄를 더하는 것과 같고 효도하는 것이 아니다! 너희 형제들이 착한 일을 많이 하기 바란다!”

유생: 아버님게서는 말을 마치자마자  눈을 감으셨습니다.

수험생1: 그런 사연이 있었는가?

유생: 나중에 저의 형제들이  잇달아 사망하고 저 혼자만 지금까지 살아남았습니다.

수험생2: 하~하~ 그래 얼마나 그동안 맘 고생이 심했는가?

유생: 저는 향시에 두 차례 응시했는데 매번 답안이 더러워졌습니다.
어제 삼경에 답안지에 정식 답안을 쓰려하니 갑자기 아버님께서  나타나서 질책하기를

유생의 아버지:네가 덕을 쌓아 하늘의 뜻에 순응하지 않고 나의 유언을 위반하여 나를 도처에서 고생하게 하고 죄를 더 가중되게 하는구나.

유생: 라고 하시면서 수갑 찬 손으로 촛불을 떨어뜨려 답안지를 더럽혔습니다. 내가 세 차례 낙방하긴 했지만 유감은 없습니다. 단지 가슴 아픈 것은 부친이 죄를 범해 지옥에서 고통을 당하는 것입니다! 나는 산속에 들어가 부처수련을 해서 부친의 망령(亡靈)을 구도하고자 합니다..

수험생: 아~하 어쩔 도리가 없구만~
            참 조상이 지은 죄를 자손이 값아야 하다니 안됐으이~

수험생: 누가 아니래나 저 친구 불쌍해서 어쩐다..

유생: 그동안 잠시나마 동거동락을 같이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수험생: 그래~ 산으론 언제 가려는가?

유생: 짐을 꾸리는 대로 갈 생각입니다.

수험생: 조상의 죄 값을 값는다 생각 말고, 전생의 업을 값는다 생각 하시게나 어쩌겠는가?          이것은 하늘의 이치가 아니겠는가? 그래도 자네는 하늘의 이치를 거스르지 않고 다르니 그 죄값은 금방 값게 되지 않겠나 싶네~~~~

유생: 고맙습니다.

수험생: 다들 정말 착하게 사세나..

수험생: 그래~죄는 짓지 말자고...

모두들 듣고선 다 혀를 내두르면서 인과응보는 정말이며 거짓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같이 수험을 치른 천푸칭(陳扶青)이 특별히 《산으로 돌아가다(歸山)》는 시를 한수 써서 그에게 주었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부모가 생전 지은 죄로 인하여 평생을 이렇다할 꿈도 펼쳐보지 못한 체
그 꿈을 접고 산으로 들어갈 수밖에 없었던 유생을 보면서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하셨나요? 착하게 산다는 것은 나 한사람만을 위하는 것이 아니라 내 주위에 있는 사람들을 비롯하여 내 후손들에게 까지 영향이 미치 것을 보면 정말 착하게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다시 한 번 해보게 됩니다.

그래도 유생은 부모님의 죄에 대해 수긍할 줄 알고 산으로 들어가겠다고 했는데... 요즘에 과연 유생과 같은 사람이 또 있을까요?

요즘 사람들은 나를 위하지 않으면 천벌을 받는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과연 나를 위해야지 천벌을 받지 않는 걸까요? 우리가 언제부터 나를 위하는 세상이 되었을까요? 나 보다 남을 먼저 생각하고 배려했던 과거 50·60년대에 사셨던 분들은 도덕을 왜 수양해야 하느지에 대해 많은 생각과 느낌이 있으실 줄 압니다. 어떤 현자는 이런 말을 합니다. 참을 수 없는 것도 참을 수 있고 행하기 어려운 것도 행할 수 있다 라고 말입니다.

진정으로 나를 내려놓고 다른 사람을 생각 한다면 정말 참을 수 없는 것이 없고 그것을 또한 행동으로 옮기지 못할 것은 없을 것 같습니다.
어쩌면 진정하게 나를 위한다는 것은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가 아닐까란 생각을 해 봅니다.

오늘 전통문화 옛 사람에게 배운다는 여기까지입니다.
이번 한주는 다른 사람에게 배려하는 마음 갖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에 찾아뵙겠습니다.
안녕히계세요



對중국 한국어 단파방송 - SOH 희망의소리
11750KHz, 중국시간 오후 5-6시, 한국시간 오후 6-7시

http://www.soundofhope.or.kr
1348 팔선열전-여동빈-(1) 2009-01-23
1347 【傳統文化)】나라와 백성에게 해를 끼친 죄는 용서할 수 없다 2008-12-19
1346 [전통문화]만사에는 원인이 있으니 관대하게 용서하며 원한을 풀어야 한다 2008-12-19
1345 [전통문화] 대당고리-대당의 북치는 병사들 2008-11-06
1344 [전통문화] 억울함을 풀어주고 덕을 쌓으니 자손이 복을 받아 2008-10-08
1343 [전통문화] 음덕을 쌓아 복을 받은 서범애 2008-10-08
1342 다른 공간에서 본 좋은 책을 읽는 중요성 2008-09-09
1341 신전문화】스승을 공경한 안회(顔回) 2008-09-08
1340 어두운 곳에서도 덕을 쌓으며 의리를 중히 여기다 2008-09-08
1339 【신전문화(神傳文化)】악비가 말을 논한 것의 계시 2008-07-16
1337 전통문화 강자아2-곧은 낚시로 천하를 낚는다. 2008-06-07
1336 신운예술단의 공연으로 천지에 정기가 드날리누나 2008-04-18
1334 잘못을 고치고 선을 향하니 마음에 따라 환경도 좋아져 2008-04-05
1333 곧은 낚시로 천하를 낚는다, 조제사주, 태공망 여상1 2008-03-29
1332 ‘신운(神韻)’에 담긴 세 가지 의미 2008-02-09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677,997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