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05(토)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어진 자는 산을 좋아하고, 지혜로운 자는 물을 좋아한다
 
  
2007-06-27 01:38:30  |  조회 8986
인(仁)자한 사람은 산을 좋아하고, 지혜(智)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한다.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전통문화- ‘옛 사람에게 배운다’ 유 인순입니다.

올 여름은 일찍부터 많이 덥네요.

이상 기온 때문이라지요.

지금 저도 산 찾아 물 찾아 시원한 곳을 가고 싶은데.....

사정이 허락지 않아서.......  

옛 성현의 가르침으로 대신해 볼까 합니다.

..........................................................................................................

孔子(공자)는 論語(논어)에서 그의 제자들에게 어진 자와 지혜로운 자를  

산과 물에 비유하여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

지혜로운 사람의 성격은 물같이 활발하고

어진 사람은 산같이 고요(安静)하다.

지혜로운 사람은 즐거워하고

어진 사람은 장수한다.”



자장(子张)이 공자에게 물었습니다.

“왜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합니까?”


공자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 산, 그것은 우람하고 높고 크다.

왜 어진 사람은 높고 웅장한 산을 좋아하는가?

왜냐하면 초목이 그 위에서 생장(生長)하고,

온갖 생물이 그 위에 서 있으며,

나는 새가 모여들고, 들짐승이 그곳에 깃들이며,

온갖 보배로운 것이 그곳에 자라난다.

온갖 만물을 기르면서도 싫증내지 아니하고

사방에서 모두 취하여도, 산은 모두 사심 없이 아낌없이 주고 있다.

구름과 바람을 내어 천지 사이의 기운을 소통시켜 음양의 두 기를 조합하고,

이슬을 내려 만물에 혜택을 주므로 만물은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백성들이 먹고 입는데 풍족한 생활을 할 수 있으므로,

이것이 어진 사람이 산을 보면 기뻐하는 이유다.”


子貢(자공)이 연이어 물었습니다.

“스승님! 군자가 큰 강물을 보면 반드시 바라보는 것은 어째서입니까?”


공자가 이에 대답했습니다.

“대저 물을, 君子(군자)는 德(덕)에 비유한다.

두루 베풀어 사사로움이 없으니 덕과 같고,

물이 닿으면 살아나니 仁(인)과 같다.

물은 그 낮은 데로 흘러가고

굽이치는 것이 모두 순리에 따르니 義(의)와 같고,

얕은 것은 흘러가고 깊은 것은 헤아릴 수 없으니 智(지)와 같다.

백 길이나 되는 계곡에 임해도 의심치 아니하니 勇(용)과 같고,

가늘게 흘러 보이지 않게 다다르니 살핌과 같으며,

더러운 것을 받아도 사양치 아니하니 포용함과 같다.

그릇에 부으면 평평하니 正(정)과 같고,

넘쳐도 깎기를 기다리지 않으니 법도와 같고,

만 갈래로 굽이쳐도 반드시 동쪽으로 꺾으니 의지와 같다.

이런 까닭에 군자는 큰물을 보면 반드시 바라보는 것이다.

만물이 그를 거쳐야만 신선하고 깨끗하게 변하니,

마치 교화를 잘하는 것과 같다.

이것이 지혜로운 자의 품덕이 아니겠는가?”


이렇게 공자는 산과 물의 여러 속성을 들어서

인간이 지녀야할 삶의 덕목과 견주었습니다.


“어진 자는 산을 좋아하고, 지혜로운 자는 물을 좋아한다."

이는 유가의 경전 논술입니다.


유가는,  

산과 같이 주지만 보답을 바라지 않는 것은

인덕(仁德)이 있는 사람의 품덕을 말하고,

물과 같이 부드럽고 유연(柔弱)하지만 만능의 기질이 있는 것으로

지혜로운 자의 품격을 상징한다고 말합니다.

...........................................................................................................


“달빛을 등불삼아 자리를 벌이자,

청하지 않은 손님 청산이 슬그머니 차지하고 들어와 앉는다.

손님이 왔으니 풍악이 없을 소냐.

솔바람은 악보로 옮길 수 없는 미묘한 곡조를 연주 한다.”



활기찬 하루 되세요.

전통문화 유 인순이었습니다.



對중국 한국어 단파방송 - SOH 희망의소리
11750KHz, 중국시간 오후 5-6시, 한국시간 오후 6-7시

http://www.soundofhope.or.kr

1348 팔선열전-여동빈-(1) 2009-01-23
1347 【傳統文化)】나라와 백성에게 해를 끼친 죄는 용서할 수 없다 2008-12-19
1346 [전통문화]만사에는 원인이 있으니 관대하게 용서하며 원한을 풀어야 한다 2008-12-19
1345 [전통문화] 대당고리-대당의 북치는 병사들 2008-11-06
1344 [전통문화] 억울함을 풀어주고 덕을 쌓으니 자손이 복을 받아 2008-10-08
1343 [전통문화] 음덕을 쌓아 복을 받은 서범애 2008-10-08
1342 다른 공간에서 본 좋은 책을 읽는 중요성 2008-09-09
1341 신전문화】스승을 공경한 안회(顔回) 2008-09-08
1340 어두운 곳에서도 덕을 쌓으며 의리를 중히 여기다 2008-09-08
1339 【신전문화(神傳文化)】악비가 말을 논한 것의 계시 2008-07-16
1337 전통문화 강자아2-곧은 낚시로 천하를 낚는다. 2008-06-07
1336 신운예술단의 공연으로 천지에 정기가 드날리누나 2008-04-18
1334 잘못을 고치고 선을 향하니 마음에 따라 환경도 좋아져 2008-04-05
1333 곧은 낚시로 천하를 낚는다, 조제사주, 태공망 여상1 2008-03-29
1332 ‘신운(神韻)’에 담긴 세 가지 의미 2008-02-09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677,997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