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04(금)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당시 산책(唐詩 散策)] 7. 贈別(증별) 이별에 붙여

杜 牧 두목  |  2023-04-19
인쇄하기-새창

[SOH]




 


                          당시산책(唐詩散策)



[7회] 촛불도 이별을 서러워하다 

<贈別, 증별>



젊은 시절 자신의 의도와는 다르게 전개되는 세상살이에서 누구나 방황이 없지 않다. 재기 발랄했던 두목이 30대 한창나이에 회남 절도사 우승유(牛僧孺)의 막료로 있으면서 실의에 빠져 밤마다 양주(揚州)의 홍등가를 배회했다. 8년간(832839)을 술과 여자에 빠져 풍류와 방탕에 젖었다. 어느 날 갑자기 장안으로 떠나면서 사랑에 빠졌던 기녀(妓女)에게 처연하리만큼 아름다운 이별시를 남겼다.

 



贈 別 이별에 붙여 杜 牧


증 별 두 목

 

 

多情卻似總無情  다정도 지나치면 오히려 무정이라 했든가

다정각사총무정

 

唯覺樽前笑不成   이별주를 앞에 놓고 웃을 수도 없었다

유각준전소불성

 

蠟燭有心還惜別  촛불도 마음이 있는 양 이별을 슬퍼하는데

납촉유심환석별

 

替人垂淚到天明  날 위해 눈물 흘리다가 어느덧 날이 밝아온다

체인수루도천명

 

[주석] () : 도리어·물리치다, 卻似(각사) : 도리어 이와 같다, () : 합치다·결국·아무래도, () : 술통·술단지, 蠟燭(납촉) : 촛불, () : 밀랍, () : 돌아오다·도리어, () : 바꾸다·대신하다, () : 드리우다, () : 눈물

 

[해설] 양주를 떠나는 마지막 날 밤, 두목은 이별을 앞두고 20세도 채 되지 않은 미모의 기녀에게 贈別(증별)이라는 제목으로 두 편의 시를 남긴다. 위의 시는 그 두 번째 시인데 그 첫 번째 시에서 “...봄바람은 십리 양주 홍등가에 부는데, 주렴 올리고 기녀들 다 보아도 그대만 못하구나!”(春風十里揚州路, 卷上珠簾總不如)라며 사랑하던 기녀의 미모를 찬미하였다. 그리고 나서 위 두 번째 시를 지어 이별을 애석해하면서 석별의 정을 펼쳤는데 그 착상이 참으로 기발하다.

 

촛불을 빌어 교묘하게 이별의 정을 노래하고 있다. 그대를 향한 나의 사랑이 깊고도 다정한데 이별을 앞두고 처연히 마주하고 있으니 도리어 무정한 듯하다. 이별주를 앞에 놓고도 이별의 정이 너무 커서 웃음을 짓지도 못하겠다.

 

방안을 밝혀주는 활활 타오르는 촛불도 사람의 마음을 알고 있는 것처럼 이별의 슬픔을 아쉬워하는 듯하다. 그때 촛불에서 떨어지는 촛물도 나의 눈물인양 밤새도록 나를 위해 눈물을 흘리다가 어느덧 날이 밝아온다. 잘 있어라·행복해라·훗날을 기약하자·날 두고 가지 마라 등등 서로에게 한마디 말도 하지 못한 채 그냥 날이 밝았다.

 

특히 마지막 구절인 다정각사총무정’(多情卻似總無情)은 명구로 인구에 회자되고 있다.


두목(803852)은 만당(晩唐 : 836-906) 제일의 시인이다. 자는 목지(牧之), 섬서성 서안사람이다. 재상 두우의 손자로 경서는 물론 사서·병서를 두루 공부했다. 성품이 고상하고 강직했으며 벼슬은 중서사인(中書舍人)에 이르렀다. 두보를 대두’(大杜), 두목을 소두’(小杜)로 비교한다. 한편 가기(歌妓)들과의 애정시를 많이 남겨 당나라 제일의 풍류재자(風流才子)로 알려져 있다.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8 [당시 산책(唐詩 散策)] 8. 江村卽事(강촌즉사) 강마을....
司空曙 사공서
23-04-26
7 [당시 산책(唐詩 散策)] 7. 贈別(증별) 이별에 붙여
杜 牧 두목
23-04-19
6 [당시 산책(唐詩 散策)] 6. 登鸛雀樓(등관작루) ....
王之渙 왕지환
23-03-30
5 [당시 산책(唐詩 散策)] 5. 竹里館(죽리관) 대나무 숲....
王 維
23-02-21
4 [당시 산책(唐詩 散策)] 4. 旅夜書懷(여야서회) 인생은 ....
杜甫 두보
23-01-31
3 [당시 산책(唐詩 散策)] 3. 早發白帝城(조발백제성) 아....
李白 이백
23-01-25
2 [당시 산책(唐詩 散策)] 2. 登幽州臺歌(등유주대가) 내 ....
陳子昻 진자앙
23-01-11
1 [唐詩 散策(당시 산책)] 1. 山亭夏日(산정하일) 산중 정....
高騈 고병
23-01-02
12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634,321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