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하나의 유령이, 공산주의라는 유령이 유럽 상공을 배회하고 있다.”
<공산당 선언>이 처음부터 ‘유령’을 언급하는 것은 마르크스의 일시적인 충동 때문이 아니다. 이 유령은 다른 공간에서는 ‘증오’와 우주 저층의 각종 부패물질로 이뤄진 악령으로서 원래는 뱀이지만 표면 공간에서는 붉은 용의 형상이다. 또한, 바른 신과 정의를 적대시하는 사탄의 동조자이며 ‘인류 파멸’이라는 목적을 품고 있다. 이 악령은 신이 재림해 중생을 구원하는 최후의 시각에 사람들이 신을 믿지 않게 하고 그들을 타락시켜 신의 가르침을 알아듣지 못하게 함으로써 결국 도태시키고 원신(元神, 영혼)이 철저히 소각되게 한다.
사람들은 공산주의가 각양각색의 무슨 ‘주의(主義)’같이 인간 세상의 어떤 사상이나 실패한 시도로 여길 수 있다. 하지만 아니다! 공산주의는 무슨 사상이나 시도가 아니고 더욱이 인간 스스로 만들어낸 게 아니다. 공산주의는 악마의 교리로, 악령이 이 세상을 파괴하고 인류를 파멸하기 위해 인간에게 강요한 것이다.
그 속에 있는 사람은 공산 악령의 간계를 간파할 수 없겠지만 오늘날 공산당 100년의 역사를 돌이켜 보면 공산 악령이 고심해서 계획한 인류 파멸의 시나리오를 똑똑히 보아낼 수 있다.
마르크스와 그의 추종자들은 악령이 음모를 실행하려고 선택한 인간 세상의 대리인이다. 이들은 이 지구에서 공산 사교(邪敎)를 일으켜 세웠다. 먼저 마르크스의 사탄 숭배와 악령의 시나리오에 대해 말해보자.
1. 마르크스의 알려지지 않은 사탄 숭배
마르크스는 중국인에게 가장 익숙한 서양인 중 한 명이지만 중국인은 마르크스를 얼마나 잘 알고 있을까? 사실 거의 알지 못한다.
마르크스는 부유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6살에 아버지는 유대교에서 기독교로 개종했고, 마르크스도 같은 교회에서 세례 받아 기독교 신자가 됐다. 그는 한때 하나님을 격정적으로 찬양하는 글을 쓰기도 했지만, 어느 날 갑자기 놀랄 만큼 하나님을 증오하는 전혀 다른 사람이 되었다.
마르크스를 연구하는 서양 학자들은, 마르크스의 이런 변화는 사탄 신도들의 영향을 받아 그도 사탄 숭배자가 되었기 때문임을 밝혀냈다. 사탄은 바로 악마를 뜻한다. 이는 중국인에게 충격적인 사실이 아닐 수 없다. 마르크스의 문학 작품을 통해 그가 악마로 변한 과정, 폭력성과 증오로 가득 찬 내면을 들여다보자.
마르크스가 18세에 쓴 <울안엠(Oulanem)>이라는 희곡에는 이런 내용이 있다. “파멸, 파멸 …… 나는 생명의 절규와 함께 전 인류에게 저주를 건다네 …… 어둠 속에서 지옥의 틈새가 우릴 향해 동시에 열렸구나, 당신이 떨어지면 나도 웃으며 뒤따르리. 그리고 당신의 귓전에 ‘아래서 만나자’고 속삭이리 …… 만약 모든 걸 삼켜버리는 존재가 있다면, 나는 주저 없이 뛰어들어 이 세상을 파멸시키리라.”
마르크스 마음속의 출처를 알 수 없는 이러한 증오와 광기는 두려울 정도였다.
시 <연주자(The Fiddler)>에서는 이렇게 말했다. “아, 나는 검은 피의 검을 당신 영혼에 정확히 꽂아 넣으리라 …… 나는 사탄으로부터 그것을 바꿔왔다네 …… 나는 힘 있고 아름다운 죽음의 행진곡을 연주한다네.” <창백한 처녀(The Pale Maiden)>라는 시에서는 “나는 천국을 잃었고 …… 지금은 지옥에 갈 수밖에 없구나”라고 했다.
또 다른 시 <인간의 자존심(Human Pride)>에서는 자신의 목표가 세상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라 파멸시키고 그것을 즐기는 것임을 공공연하게 드러냈다. “경멸하는 마음으로, 나는 이 세상에 도전하네. 세계라고 하는 얼굴에 갑옷을 던져, 이 거대한 난쟁이의 붕괴를 지켜보리. 그러나 이놈의 붕괴는 아직 나의 희열을 진정시킬 수 없구나. 나는 신처럼 폐허가 된 왕국을 빠져나가 개선하리라. 나의 말은 구절구절 불(火)과 업(業)이니, 나는 조물주와 동등하다고 느낀다네.”
이 세상에 대한 마르크스의 증오는 어디서 왔을까? <절망자의 기도(Invocation of One in Despair)>라는 시에서 단서를 찾을 수 있다. “하나님은 나에게서 모든 것을 빼앗고, 운명의 저주와 멍에만 남겨놓았네. 이 세상 모든 것을 뒤로한 나에게, 남은 것은 증오뿐이라네. 나는 하늘에 나의 왕좌를 세우리. 그 정상은 추위와 두려움이고, 아래는 미신의 전율이며, 그 주인은 어둠과 고통이라네.”
그는 아버지에게 이렇게 편지를 썼다. “한 시대는 이미 막을 내렸습니다. 신성한 것들이 제 몸에서 떨어지고 새로운 주(主)가 머물렀습니다.” “진정한 불안이 저를 지배하고 있습니다. 저는 그 꿈틀대는 귀신을 달랠 수 없습니다. 저를 사랑하는 당신과 함께 있기 전까지는.”
아들의 심적 변화를 불안하게 여긴 아버지는 답장에서 간곡히 당부했다. “순수한 마음과 인성을 지켜내야 한다. 악마가 네 마음을 아름다운 감정에서 멀어지지 못하게 해야만 나는 너에게 기뻐할 수 있단다.”
하지만 이미 악마로 변한 마르크스는 <헤겔에 관하여>라는 시에서 “나는 명상으로 가장 심오하고 숭고한 진리를 발견했기에 하나님처럼 위대하네. 나는 어둠으로 만든 옷을 입었다네, ‘그분’과 마찬가지로.”라고 거만하게 말했다.
마르크스가 악마가 된 과정은 현재 더는 비밀이 아니다. 그의 문학 작품과 편지, 그에 관한 대량의 연구 자료는 모두 공개돼 있지만 공산 국가들은 의도적으로 무시하고 있다. <마르크스와 사탄>의 저자 리처드 범브란트(Richard Wurmbrand)는 모스크바 마르크스연구소에 알아본 결과, 총 100권이 넘는 마르크스의 저작 중에서 출판된 것은 13권에 불과했다.
마르크스는 처음부터 세계를 파괴하려는 생각뿐, 프롤레타리아 계급과 노동자 및 농민을 위해 그 무엇을 하려는 생각은 추호도 없었다. 그는 똑똑했고 좋은 교육을 받았음에도 하나님을 반대하고 인류를 저주하며 악마를 숭배했기에 공산 악령이 찾던 인간 세상의 대리인에 적합했다. 악령은 그를 택했다. 마르크스는 마(魔)교를 신앙하고 하나님을 증오했지만 그렇다고 무신론자는 아니었다. 그러나 그는 무신론을 신봉하는 공산 사교를 만들어 신과 대적하면서 인류 파멸이라는 공산 악령의 사명을 완수하려 했다.
그때부터 인간 세상은 프롤레타리아 계급에 의해 발칵 뒤집혔으며 피바람이 부는 비극이 시작됐다. (계속) / 에포크타임스
편집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