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국제 NGO ‘강제장기적출에 반대하는 의사들(DAFOH·이하 다포)’이 “중국공산당(중공)의 인권 탄압과 강제 장기적출을 조사하기 위한 국제 특별재판소를 설립해야 한다”고 유엔(UN)에 촉구했다.
다포는 2018년 이후 처음 실시되는 유엔의 ‘보편적 인권 정례검토(UPR)’를 앞두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성명을 발표했다.
UPR은 2006년 유엔 인권이사회 창설과 함께 마련된 심의 제도다. 각 유엔 회원국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자국 인권 상황에 대해 다른 회원국들로부터 심의를 받는다. 이번에는 중국을 대상으로 지난달 23일(현지 시간) 실시됐다.
다포는 성명을 통해 “UPR의 존재 이유는 인권과 법치를 강화하기 위함”이라며 “인권 범죄를 저지른 가해자에게 피난처를 제공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중국 내 강제 장기적출 범죄를 조사하는 영국의 비정부 기구 ‘중국 재판소’ 조사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파룬궁 수련자를 포함한 수많은 양심수가 강제 장기적출로 인해 사망했다.
중공은 지난 1999년부터 파룬궁에 대한 전면적 탄압을 시작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생체 장기적출 만행을 주도해 현재까지 최소 수 천명 이상이 희생된 것으로 추산된다.
중공의 장기이식 사업은 당국의 묵인 하에 군과 병원의 협력하에 이뤄지고 있으며, 반체제 인사, 종교인, 소수 민족 등으로 적출 대상을 넓혀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국제사회에서는 비난이 쏟아졌지만 중공은 장기적출 사업의 이윤 극대화를 위해 해외의 환자까지도 끌어들이는 ‘장기이식 관광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다포는 “자유 세계에 사는 이들에게는 장기적출 범죄가 먼 나라 이야기처럼 들릴지 모르지만, 자신이나 가족이 그 범죄의 표적이 되는 순간 다르게 느껴질 것”이라며 “모든 유엔 회원국이 중국의 인권 상황에 대해 가감 없이 문제를 제기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2004년부터 2014년까지 유럽의회 부의장을 네 차례 지낸 에드워드 맥밀란-스콧은 “2006년 중국을 방문했을 때 이런 인권 범죄가 실제로 일어나고 있음을 목격하고 큰 충격을 받았다”고 털어놨다.
그는 또한 “당시 파룬궁 수련자 수백 명을 만났는데, 그들의 증언을 모두 같았다”며 “이렇게 일관된 증거를 믿지 않는다는 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 만행 증거, 차고 넘쳐
중국 내 강제 장기적출에 대한 조사, 보고서, 증언이 점차 많아짐에 따라 중공의 실체가 만천하에 드러나고 있다.
중국 재판소는 2019년 “오랜 시간 중국에서 강제 장기적출 범죄가 대규모로 자행됐으며, 중공은 자국 내 파룬궁 수련자들을 ‘장기 공급원’으로 취급하고 있다”고 폭로했다.
미국 이식학회지에 게재된 2022년 연구에 따르면, 장기 이식에 관한 중국어 논문 71건에서 의사들이 환자의 뇌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지 않고 이식을 진행한 정황이 드러났다. 환자가 이 과정에서 살해됐을 가능성이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다.
미국 비정부 기구 ‘인권·정의를 위한 란토스 재단’의 카트리나 란토스 스웨트 회장은 “강제 장기적출 범죄를 근절하기 위해 중공과 맞서 싸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제 행동으로 나서야 한다“며 “유엔이 중국 정권에 인권 범죄에 대한 책임을 묻기를 전 세계 수백만 명이 희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공은 이번 UPR을 앞두고 비서방 국가들에게 로비를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상원의원 필립 헌트 경(킹스 히스)은 “중공의 이런 시도는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며 “자국을 향한 비판을 막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헌트 경은 “내 역할은 이 문제(중공의 장기적출 만행)를 가능한 한 많은 사람이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통해 관련 증거를 수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럽의회는 지난 18일 중공의 파룬궁 및 소수민족 박해를 규탄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에 대해 헌트 경은 “중공이 주도하는 이 끔찍한 범죄에 대해 더 많은 국가가 우려하는 것을 보게 되어 기쁘다”고 밝혔다.
에포크타임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