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인권탄압과 관련해 ‘중국공산당(중공)의 위험성’을 논의한 세미나에서 “중공의 강제 장기적출 만행은 파룬궁 수련자들을 절멸하려는 의도가 분명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지난 2일(현지 시간) 미국에 기반을 둔 ‘강제장기적출에 반대하는 의사협의회(DAFOH)’는 ‘중공의 위험성’에 관한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했다.
DAFOH 상임 이사 톨슨 트레이는 파룬궁 수련자들을 대상으로 한 강제 장기적출에 대해 “2년에 걸쳐 해당 의혹을 조사한 결과, 우리는 실제로 이것이 특정한 형태의 대량학살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트레이 이사는 “(파룬궁에 대한 대량학살은) 장기간, 은밀히” 이루어지고 있어 외부(해외)에서 (관련 정황을) 파악하는 데에 일정한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공은 (파룬궁에 대한) 사형 집행의 장소를 법정에서 수술실로 옮겼다”며 “그들의 최종 목표는 파룬궁을 절멸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DAFOH는 ‘중공은 강제 장기적출을 통해 파룬궁 탄압 외에 막대한 수익도 얻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장기 이식 시장으로, 정부의 묵인 하에 국가적 사업 규모로 성장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적출된 장기가 이 시장의 주요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2019년 중국 양심수에 대한 장기적출을 조사하기 위해 설립된 영국 민간 조사기관 ‘독립민간법정’은 중국에서 강제 장기적출이 상당한 기간에 걸쳐 광범위하게 자행됐으며 '파룬궁 수련자들이 주요 장기 공급원'이라고 결론 내렸다.
독립민간법정은 중국 내 146개 병원의 인프라와 수용력을 조사한 결과, 보수적으로 추정해도 병원당 매년 6만 건에서 9만 건의 장기이식수술이 시행되고 있다고 추론했다. 이는 중공 당국이 주장한 연간 1만~2만 건을 훨씬 웃도는 수치다.
세미나에 참석한 캐나다 인권변호사 데이비드 메이터스는 ‘중공의 장기적출은 국가의 용인 하에 이뤄지는 ’초국가적 범죄‘라며, 이에 반대하는 일부 국가의 움직임을 환기시켰다.
메이터스 변호사는 “의사들은 환자들에게 ‘당신이 장기이식을 위해 중국에 간다면, 그 장기를 위해 누군가가 죽을 수도 있다’고 말해야 한다”며 윤리적인 기준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는 뜻도 피력했다.
이와 관련해 이스라엘과 노르웨이, 대만, 칠레 등 일부 국가는 자국민의 해외 장기이식을 금지를 법으로 규정했다. 그러나 대부분 국가에서는 관련 규정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웰든 길크리즈 DAFOH 부국장은 국제사회가 반인륜적 범죄를 자행하는 중공과 분리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우리는 범죄 국가를 상대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며 “개인 차원에서 제도적인 차원까지, 중국으로부터의 대대적인 분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공의 강제 장기적출 탄압의 최대 피해자로 알려진 파룬궁(法輪功·파룬따파(法輪大法))은 진·선·인(眞善忍)을 지향하는 수련법이다.
탁월한 심신 개선 효과로 중국에서 1990년대 초부터 탄압 전인 1999년 7월까지 수련자 수가 약 1억 명에 달할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그러나 당시 중공 총서기 장쩌민은 파룬궁의 수련자 수가 급증하는 것을 위협으로 간주해 1999년 7월부터 대대적인 탄압을 단행했다.
중공의 파룬궁 탄압은 블법적인 체포, 구금, 수감, 고문, 구타, 독극물 주입, 세뇌, 강제노역, 장기적출 등 잔인무도한 모든 방법을 총동원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계속 되고 있다.
이로 인한 사망자 수는 최소 수만 명 이상일 것으로 추정된다.
/ 에포크타임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