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의료진들이 최근까지도 양심수나 신장위구르 주민들의 장기를 살아있는 상태에서 적출한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호주에서 나왔다.
5일(현지시간) 외신들에 따르면, 호주 국립대(ANU) 연구팀은 중국 내 장기이식 사례를 연구한 결과를 최근 ‘미국장기이식학회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1980~2020년 사이 중국에서 나온 장기이식 관련 논문 중 추출한 데이터 2838건을 분석한 결과 그 중 71건에서 71건의 사례에서 장기가 적출될 때까지 처형된 수감자가 뇌사상태에 이르지 않거나 숨이 붙어 있었다고 파악했다.
연구팀은 “이 경우 사망의 원인은 장기 적출”이라고 분석했다. 이는 수감자에 대한 장기 적출 시 사망한 상태에서 이뤄진다는 중국 측의 주장과는 상반된다.
앞서 황제푸 전 중국 위생부 부부장은 2007년 중국이 사형된 죄수들의 장기를 적출하고 있다고 시인하면서도 이들이 살아있는 상태에서 장기를 적출하는 것은 아니라고 부인한 바 있다.
연구를 주도한 매튜 로버트슨 ANU 정치 및 국제관계학 박사는 “중국 의사들이 중국 정부를 대신해 사형집행인이 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연구팀은 사망 전 장기를 적출하는 실제 사례는 71건보다 더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최소 중국 내 56개 병원에서 300명 이상의 의료진이 이 같은 적출 행위에 연루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중국 의료진들의 생체 장기적출 만행은 ‘수익성 증대’를 위한 것으로 보인다. 장기 공여자를 최대한 살아있는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서 이식 수술의 성공률을 높이고 병원의 수익 증대도 이끌 수 있다는 것.
로버트슨 박사는 “희생자들이 어떻게 수술대에 오르게 됐는지는 정확히 알 순 없지만 병원으로 이송하기 전 머리에 총상을 입거나 마취 약물 등을 주입 당하는 등 여러 가지 상황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
앞서 중국은 2015년 처형된 수감자의 장기 적출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미국, 유럽, 아시아 등의 여러 국가와 국제 인권단체들은 중국이 파룬궁(심신 수련법) 수련자들과 위구르족, 지하 기독교도 등을 대상으로 장기간 생체 장기적출을 자행해 온 것으로 보고 있으며, 해당 만행을 중단할 것을 계속 촉구하고 있다.
한지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