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전국시대 말기 여러 제후들이 할거해 분열되었던 국면이 진나라에 의해 통일됐다. 진시황은 재위 37년 순행을 나갔다 사구(沙丘)에서 갑자기 세상을 떠났다. 진시황은 유조(遺詔)에서 장자인 부소(扶蘇)를 불러 장례를 주관케 하고 도성에 들어와 제위에 오르라고 했다. 하지만 조서를 관리하던 조고(趙高)가 승상 이사(李斯)와 결탁해 거짓 조서로 부소를 자살하게 하고 어린 아들 호해(胡亥)를 황제로 옹립하니 그가 바로 진이세(秦二世)다.
진이세가 즉위 후 진시황의 옛 신하들과 황실의 종친들을 멋대로 살해하자 진시황이 심혈을 기울여 건립한 제국의 기초가 흔들리기 시작했다. 진이세 원년(기원전 210년) 진승(陳勝)과 오광(吳廣)이 900명의 수졸(戍卒 변방에서 수자리 하는 군사)을 인도해 가다 대택향(大澤鄉)에서 “나무를 베어 무기로 삼고(斬木爲兵) 장대를 들어 깃발로 삼으며(揭竿爲旗)” 진이세의 통치에 도전했다.
그들은 진(陳) 땅에 정권을 세우고 국호를 ‘초(楚)’ 또는 ‘장초(張楚)’라고 했다. 이를 기회로 각지에서 진나라에 반대하는 인사들이 앞다퉈 자신의 역량을 조직하고 순식간에 군웅이 할거 하고 반란을 일으켰다. 마치 여러 제후들이 각축하던 전국시대로 되돌아간 것 같았다.
2. 삼진(三秦)을 다시 평정하다
한신의 분석과 마찬가지로 항우가 제후들에게 땅을 나눠준 뒤 천하의 여러 세력들 사이에 모순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가장 먼저 문제가 생긴 곳은 제나라의 전영(田榮)이었다. 전영은 원래 제나라 귀족 중의 군사지도자로 여러 차례 항량의 명령에 불응한 적이 있었다. 때문에 항우는 제후들에게 땅을 나눠줄 때도 그는 왕으로 책봉되지 못했다. 전영은 이에 대해 큰 불만을 품고 군사를 일으켜 항우가 세운 제왕(齊王)을 몰아내고 스스로 제왕이 되었다. 또 팽월(彭越)을 도와 항우의 영지인 정도(定陶) 공격에 나섰다.
한편 진여(陳餘)는 같이 활동했던 장이(張耳)만 상산왕(常山王)에 봉해졌고 원래 자신이 조나라 왕으로 모셨던 조헐(趙歇)이 자리를 옮겨 대왕(代王)에 봉해졌지만 자신만 왕으로 책봉되지 못하자 크게 불만을 품었다. 그는 전영과 동맹을 맺고 장이와 항우를 공격했다. 장이는 진여와의 전투에서 패하자 유방에게 투항했다. 진여는 또 조헐을 대나라에서 모셔와 조나라 왕으로 삼고 자신이 대왕이 되었다.
또 요동왕(遼東王) 한광(韓廣) 역시 불만을 품고 연왕(燕王)의 영지를 차지하려다 결국 연왕에게 멸망당했다.
중원지역에서 전쟁의 불길이 타오르자 항우의 패주 지위를 흔들었다. 항우는 이 모든 재앙의 가장 큰 원인을 전영으로 보고 직접 군사를 이끌고 토벌에 나섰다.
한신은 시기가 무르익었다고 보고 한고조 원년(206년) 8월 군사를 이끌고 삼진(三秦 원래 관중 지역을 항우가 세 나라로 분할해 분봉했기 때문에 삼진이라 한 것) 평정을 위한 동정(東征)에 나섰다.
관중과 한중은 높고 험한 진령(秦嶺)산맥에 가로막혀 있다. 두 지역은 겨우 몇 갈래 험한 산길로만 연결될 뿐인데 이를 각도(閣道) 또는 잔도(棧道)라 했다. 길의 길이는 각각 수백 리에 달했는데 아주 좁고 험해서 행군도 어렵고 군수물자를 수송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컸다.
이들 잔도 중 포사곡(褒斜谷)과 진창도(陳倉道)는 각각 지리적으로 매우 중요했다. 포사도는 유방이 한중에 들어갈 때 불태워버린 잔도로 길이가 무려 600리가 넘어 길을 수리하자면 하루아침에는 불가능했다.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길은 진창도 뿐이었지만 중무장한 장함의 부대가 그 길목을 지키고 있어 통과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다.
하지만 한신은 이런 난관에 굴복하지 않았다. 그는 번쾌, 주발에게 병력을 이끌고 전에 불태워버린 포사도로 가서 잔도를 수리하게 했다. 마치 이곳으로 병력을 보낼 것처럼 허장성세(虛張聲勢)한 것이다. 이 소식을 들은 장함은 즉시 포사도 입구에 많은 병력을 파견해 방어하게 했다. 이곳은 “한사람이 관을 가로막으면 누구도 통과할 수 없는” 곳으로 입구만 점령하면 근심할 필요가 없는 곳이다.
한신은 장함이 계략에 걸려든 것을 보고 병력을 이동시켰다. 서쪽으로 면현(勉縣)을 나와 북쪽으로 방향을 튼 후 옛날 길을 따라 진창으로 진군했다. 이 길을 진창도라 한 이유는 당시에 진창이 식량을 쌓아두고 저장하던 군사요지였기 때문이다. 한나라 군이 진창에 먼저 진입하게 되면 삼진(三秦) 군대의 후면을 포위한 것과 다름이 없었다. 당시 장함의 병력은 대부분 함양으로 동원되어 진창에는 남은 병력이 거의 없었다. 한나라 군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가볍게 진창을 차지했다.
이 소식을 들은 장함은 군대를 이끌고 급히 달려와 한신과 맞섰다. 당시 한신의 앞선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어 사기가 매우 높은 상태였다. 반면 장함 진영에서는 급히 응전하라는 명령에 대해 군심이 동요됐다.
양군이 서로 진을 치고 대치할 때 번쾌와 주발의 병력까지 합세해 삼면에서 협공을 했다. 결국 전투에 패한 장함은 자결했다. 승산이 사라진 사마흔과 동예 역시 잇따라 투항해왔다. 이렇게 삼진을 다시 평정하는데 겨우 4개월이 소요되었다. 이때부터 관중은 유방이 항우를 물리치고 천하를 통일하기 위한 기지가 되었다.
역사적으로 한신이 군사를 이끌고 한중에서 관중에 들어간 전략을 ‘겉으로는 잔도를 수리하고 몰래 진창을 건너다(明修棧道,暗渡陳倉)’로 개괄할 수 있다. 이는 한신이 첫 선을 보인 작전이었다. 지금은 이 고사성어가 “상대방의 주의를 다른 곳으로 전이시킨다”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신이 처음 창조한 이 전술은 후대 병가(兵家)에서도 줄곧 중시되었고 나중에 《삼십육계(三十六計)》의 하나로 수록되었다.
한편 항우는 한나라 군의 삼진 회복에 대해 일시적으로 돌아볼 여력이 없었다. 하지만 항우 수하의 책사들은 모두 유방이야말로 최대의 적이라고 인정했다. 특히 아부 범증은 한나라를 최우선적으로 공격할 것을 주장했다.
항우가 아직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을 때 장량이 시의적절하게 밀서를 보냈다. 그 서신에는 유방은 관중왕이 되고자 할 뿐이며 자신은 영원히 항우에게 복종할 것임과 전영과 팽월이 연합해 초나라에 반기를 들고 천하를 다투려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항우는 밀서를 읽고 나서 즉시 대군을 이끌고 북상했다. 먼저 팽월을 공격해 세력을 흩어놓았고 뒤이어 성양(城陽)에서 전영을 크게 물리치고 전가(田假)를 새로운 제왕으로 삼았다. 그러나 전영의 동생 전횡(田橫)이 항우가 물러난 뒤 전가를 몰아내고 전영의 아들을 왕으로 세웠다. 화가 난 항우는 다시 군사를 돌려 전횡을 죽이려 했다. 하지만 전횡은 항우와 정면으로 맞서는 대신 유격전을 펼쳤다. 때문에 항우는 싸우고 싶어도 이기기 어려웠고 그렇다고 물러나자니 참을 수가 없었으니 완전히 제나라의 수렁에 빠져버렸다.
유방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관중에서 착실히 기초를 다지며 세력을 확장시켰다. 이때 각지에서 문신과 무장들이 앞을 다퉈 찾아왔다. 도성도 원래 옹색했던 남정(南鄭)에서 동쪽으로 옮겨 역양(櫟陽)에 자리 잡았고 하남왕(河南王) 신양(申陽), 서위왕(西魏王) 위표(魏豹) 및 은왕(殷王) 사마평(司馬平) 등의 지역을 수복했다. 또 항우가 임명한 한왕(韓王) 정창(鄭昌)을 폐위시키고 자신을 따르던 한신(韓信 대장군 한신과 동명이인)을 한왕으로 세웠다. 장이는 진여에게 패한 후 유방에게 투항했고 본래 항우의 막하에 있던 진평(陳平) 역시 유방에게 투항했다. / (계속) 大紀元
편집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