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자(列子) 탕문(湯問)편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옛날 아흔 살이나 된 우공이란 노인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가 사는 집이 사방 둘레가 7백리나 되고 높이가 만 길이나 되는 태행산과 왕옥산이 가로막고 있어서 왕래하는데 아주 불편하였습니다. 그래서 우공은 어느 날, 가족을 모아 놓고 의논을 했습니다.
"나는 너희들과 함께 힘을 모아 저 두 산을 깎아 예주의 남쪽으로부터 한수 남쪽까지 이르도록 길을 내고 싶은데 어떠냐?" 가족들이 우공의 의견에 동의하자 우공은 아들과 손자들을 데리고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어느 날 황하 유역에 사는 지수라는 노인이 비웃으며 '죽을 날이 멀지 않는 노인이 산의 한 터럭조차 훼손하지 못할 터인데 그 많은 흙과 돌을 어떻게 할 것이냐'면서 그만 두라고 하였습니다. 그러자 우공은 "내가 죽으면 내 아들이 있다. 아들은 또 손자를 낳을 테고 손자는 또 그 아들을 낳고 자자손손 계속해서 일을 해 나간다면, 언젠가는 저 두 산이 평평해지겠지."
그런데 정작 깜짝 놀란 이가 있었으니 바로 태행산과 왕옥산을 지키는 산신이었습니다. 정말 그렇게 그치지 않고 계속한다면 큰일이라고 생각한 산신은 상제에게 호소하였고 우공의 정성에 감동한 상제는 과아씨의 두 아들에게 명하여 각각 두 산을 업어 하나는 삭(朔)의 동쪽에 하나는 옹(雍)의 남쪽에 옮겨 놓게 했답니다. 중국의 삭동과 옹남지역에 있는 태행산과 왕옥산은 본래 기주(冀州, 하북성) 남쪽 하양(河陽, 하남성) 북쪽에 있었다고 합니다. 여기에서 쉬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는 비유로 '우공이산(愚公移山)'이란 성어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에서 보내드렸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