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15(화)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참을 인(忍) 의 이야기

희망지성  |  2012-12-17
인쇄하기-새창

참을 인(忍) 의 이야기

‘참을 인(忍)’자를 자세히 살펴보면
‘마음(心)’에 ‘칼날(刃)’이 박혀 있습니다.
이것은 참는 마음 외에 고통마저도 승화한 형태입니다.
중국에서는 예부터 '인'의 정신이 구전됐다고 하니
이 ‘인(忍)’의 글자를 통해 그 경지를 전달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 이야기 중 하나를 소개합니다.

 

청나라 시기 백성의 존경을 받던 대흥(大興) 스님이 구화 산(九華山)에서
수행하고 있었을 때의 일입니다.
어느 날 느닷없이 마을 지주가 동네 사람을 몰고 와
스님이 자신의 딸을 겁탈했다며
심한 욕설을 퍼부으며 구타했습니다.
그리고는 갓난아기를 절 마당에 버려두고 갔습니다.

 

소문은 일파만파로 퍼져 존경의 대상이던 스님은
삽시간에 멸시의 대상으로 전락해 버렸습니다.
그러나 스님은 버려진 갓난아기를 키우기 위해
매일 마을로 내려와 사람들의 손가락질을 받으며
젖동냥을 하였습니다.

 

수년이 지나 지주는 딸을 데리고 다시 절을 찾았습니다.
"딸자식 말만 믿고 무뢰를 저지른 소인을 용서해 주십시오.
이제야 비로소 아이의 진짜 아비가 누구인지를 알았습니다."
지주와 딸은 마당에 엎드려 진심으로 스님께 용서를 빌었습니다.

 

지주의 딸은 몇 년 전부터 어느 서생과 은밀히 사귀고 있었는데
뜻하지 않던 출산으로 격노한 아버지 앞에서 얼떨결에 스님의 아이라고
둘러댔습니다. 그리고 공직에 오른 서생은
그제야 딸에게 청혼 하기 위해 지주를 찾아왔던 것입니다.

 

이야기를 듣고 난 스님은 허허 웃으며 말했습니다.
"우연한 일은 없습니다. 모든 것이 다 전세의 인연에 의한 거지요.
이제 이 건강한 녀석을 데려가 훌륭히 키우는 일만 남았습니다."
이때부터 사람들은 대흥 스님을 더욱 존경하게 되었습니다.

 

공자는 논어에서 ‘소불인즉란대모(小不忍則亂大謀)’라고 했습니다.
작은 일을 참을 수 없어서는 큰일을 도모하기 어렵다는 뜻이지요.
칼에 찔려도 동요하지 않는 큰마음이 ‘인(忍)’의 경지가 아닐는지요.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에서 보내드렸습니다.

 

 

 

 

 

 

오늘 희망레터를 함께 읽고 싶은 소중한 분들에게 많이 전달해주세요.
추천(구독)하신 분들에게는 희망지성 국제방송 에서 직접 희망레터를 보내드립니다.
페이스북,트위터 에서 공유 하실분은 독후감 한마디 또는 지난호 보기 를 클릭하세요.
희망레터는 희망지성 국제방송 가족들의 십시일반 후원금으로 운영됩니다.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4 얻는 것이 있으면 잃는 것이 있기 마련이다
희망지성
13-02-03 5233
83 인생은 꿈과 같다
희망지성
13-01-27 4835
82 어리석은 원숭이
희망지성
13-01-20 4738
81 미물도 은혜를 입으면 보답할 줄 안다
희망지성
13-01-13 4796
80 오직 엄마만이 나를 칭찬해 주었어요
희망레터
13-01-06 4523
79 군자의 사귐은 물처럼 담담하다
희망지성
12-12-29 5168
78 결심에 대하여
희망지성
12-12-22 4906
77 참을 인(忍) 의 이야기
희망지성
12-12-17 4972
76 책임감 있는 경영자
희망지성
12-12-09 5390
75 '우담바라'의 의미
희망지성
12-12-01 5960
74 다시 새롭게
희망지성
12-11-24 4662
73 남의 비평을 진심으로 받아들여 실천하다
희망지성
12-11-19 5017
72 네 가지 선의 단서
희망지성
12-11-12 4771
71 구맹주산
희망지성
12-11-05 5594
70 대덕지사의 마음가짐
희망지성
12-10-27 4680
69 제갈량의 현명한 아내
희망지성
12-10-21 5350
68 부족함이 욕망을 불러온다
희망지성
12-10-15 6718
67 새로운 세계를 열기 위해 천 번의 조각칼을 참아내다
희망지성
12-10-08 5751
66 산비둘기와 부엉이의 대화
희망레터
12-10-01 4856
65 한서(漢書)를 완성한 여류 문인 반소(班昭)
희망지성
12-09-23 5471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5,132,214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