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의료(醫療)의 목적은 사람이 질병의 고통에서 벗어나 더 이상 병이 생기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어떻게 병에 걸리지 않을 수 있는가?’라고 생각하지요. 병에 걸리지 않는 해답을 찾으려면 현대의학보다 전통 중의학에서 찾는 것이 더 희망적입니다.
예를 들어 현대의학에서는 가장 흔한 성인병인 고혈압과 당뇨를 억제만 할 수 있을 뿐 치료하지는 못합니다. 또 흔한 감기는 물론 에이즈도 통제할 수 없지요. 종양은 수술로 잘라내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습니다. 신경계 질환은 기계적인 손상 외에 언제 어떤 원인으로 발병하는지 정확한 기전을 모르고요. 또한 내분비질환이나 정신질환은 양자의학과 양자생물학으로도 해결하지 못했습니다. 요즈음은 주객이 전도돼 질병치료보다는 병이 발생하는 병리(病理)검사가 더 중요해졌지요.
반면, 중의학에서는 병이 발생하는 원인인 음양(陰陽), 허실(虛實), 한열(寒熱)을 살핍니다. 어떤 병이 어떤 장부(臟腑), 어떤 경락에 속하는지 진단하고, 그 진단에 따라 치료에 적합한 약물을 처방합니다. 한편 침(鍼)과 뜸(灸)을 이용해 병이 발생한 경락(經絡)을 찾아 오행(五行)의 상생상극 원리로 처방하지요. 중의학이나 침구학은 현대의학처럼 동물실험을 거치지 않고 직접 인체에 실험합니다. 직접 인체에 근거해 얻은 자료라 당연히 인체에 적용하면 효과가 좋지요.
인체의 기혈은 대우주와 맞물려 돌아갑니다. 중의학은 도가(道家) 학술 체계의 하나로 ‘천인합일(天人合一)’을 강조하는데, 도가에서는 사람의 몸을 하나의 소우주(小宇宙)로 봅니다. 인체의 모든 기혈(氣血) 순환과 흐름은 대우주(大宇宙)와 상호 연결된 통로가 있지요. 자연계에 존재하는 동물과 식물 등의 우주 특성을 빌려 사람의 기를 조절하고, 침구를 이용해 사람의 기와 우주의 기를 서로 연계하면 질병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한약을 복용할 때는 시간과 장소에 주의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소변과 대변으로 수음(水飮)을 제거하는 십조탕(十棗湯)은 동이 틀 무렵(대략 아침 5시경) 복용해야 하지만, 신(腎)을 보(補)하는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이나 팔미지황환(八味地黃丸) 등의 약은 빈속에 복용해야 합니다. 또 약을 달이는 방법도 주의해야 합니다. 감기에 처방하는 갈근탕(葛根湯) 또는 마황탕(麻黃湯)에 들어가는 갈근이나 마황은 다른 약재보다 먼저 끓여 거품을 제거한 후 나머지 약을 넣고 함께 달입니다. 반면 약성이 가벼워 증발이 잘 되거나 향을 위주로 사용하는 조구등(釣鉤藤), 박하(薄荷), 형개(荊芥) 등의 약은 다른 약재보다 나중에 넣습니다.
하늘에서 정한 수명을 누리려면 양생의 도리를 알아야 합니다. 중의학은 병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양생(養生)도 합니다. 중의학 최고의 경전(經典)으로 불리는 ‘황제내경(黃帝內經)’은 단순한 의서(醫書)라기보다 병 치료, 양생, 수련(修煉)을 포괄적으로 다룹니다. 이 셋은 따로 떼어서 구분할 수 없죠. 왜냐하면 사람이 쇠약하거나 병이 있는 상태로는 수련을 할 수 없어 양생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황제내경’은 병의 원인, 양생, 수련에 대해 ‘사람은 마땅히 풍한서습(風寒暑濕) 등 사기(邪氣)의 침습을 피하고, 평소 적당히 일해야 한다. 천명(天命)을 알아야하며 명예와 이익을 담담히 여기고 수련과 양생에 힘써야 한다’고 알려줍니다.
‘황제내경’은 또 ‘진인(眞人)’ ‘지인(至人)’ ‘성인(聖人)’ ‘현인(賢人)’ 등 각기 수준이 다른 수련인을 언급했는데요, 이들은 모두 양생의 도리를 알고 몸을 보양(保養)하는 동시에 정신수련도 해야 함을 알았습니다. 사람의 욕망을 담담히 할 수 있었지요. 양생, 수련, 보양은 모두 사람이 병을 얻지 않고 하늘이 정한 수명을 누리게 하는 방법입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