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04(금)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황제의 딸 왜 공주라고 부를까요?

편집부  |  2012-04-09
인쇄하기-새창

[SOH] 공주(公主)라는 단어의 사전적 의미를 보면 정실 왕비가 낳은 임금의 딸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공주라는 단어는 어디에서 유래한 것일까요?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의 기록에 따르면 '천자(天子)가 딸을 제후에게 시집보내면 반드시 제후 중에서 성씨가 같은 사람이 주관한다'라고 했습니다.


여기서 주관한다는 것은 혼례를 주관한다는 뜻입니다.

 

원래 춘추전국시대에는 각 제후국의 제후를 가리켜 공(公)이라고 칭했습니다. 엄밀하게 말하면 공(公), 후(侯), 백(伯), 자(子), 남(男)의 구별이 있었지만 통칭하여 공이라고 했습니다.


주(周) 나라 천자가 딸을 제후에게 시집보낼 때 천자 스스로 혼례를 주관할 수 없어 같은 성을 가진 제후 중에서 연배가 있는 사람을 지정해 혼사를 주관하게 했습니다.

 

이에 천자의 딸을 제후인 공(公)이 주관하여 혼사를 치르게 하였던 데서 유래하여 천자의 딸을 공주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공주란 단어가 처음 쓰이기 시작한 것은 춘추전국시대의 일로서 한나라에서 청나라에 이르기까지 사용되었으며 한나라 때는 황제의 딸을 공주라 했고 황제의 여자 형제들을 가리켜 장공주, 황제의 고모는 대장공주라고 했습니다.


여기서 공주 앞에 장이나 대장을 붙인 것은 존중의 뜻이 담겨 있습니다.


동한때는 공주 앞에 특정 현(縣)의 지명을 붙여서 불렀습니다. 진(晉) 나라에 이르러서는 황제의 딸은 모두 군공주(郡公主)로 봉하고 공주 앞에 군 이름을 붙였습니다.


그러다 당(唐) 나라에 와서 다시 한나라에서처럼 대장공주, 장공주, 공주 등으로 불리며 모두 정1품의 대우를 받았습니다.

 

청나라 때는 태종인 황태극이 공주에 등급의 차별을 두어 황후 소생의 공주는 고륜공주(固倫公主)라 해서 황태자를 제외한 황제의 아들인 친왕과 동등하게 대우했고 황후의 양녀나 후비 소생의 공주는 화석공주(和碩公主)라 하여 친왕의 다음 자리인 군왕(郡王)과 같은 대우를 누렸습니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이 명칭을 사용하였으며 고려 시대는 공주에게 정1품 품계를 주었고 조선 전기의 경국대전에서는 왕의 정실이 낳은 딸을 공주라 하고 측실이 낳은 딸을 옹주(翁主)라 하여 구별하는 한편 공주는 품계를 초월한 외명부(外命婦)의 최상위에 올려놓았습니다.


따라서 공주의 남편은 중국과 같이 부마도위(駙馬都尉)라 하고 공주의 부마에게는 처음에 종1품의 위(尉)를 주었다가 정1품의 위로 올려 주었으며 옹주의 부마에게는 처음에 종2품 다음에 정2품으로 올리는 등 차별을 두었습니다,


씬위(心語)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38 신하가 천자를 알현할 때 홀(笏)을 든 이유?
편집부
12-05-07
37 귀를 씻는 것을 왜 경청(傾聽)이라고 했을까요?
편집부
12-04-30
36 당(唐) 태종은 왜 생일을 기념하지 않았을까요?
편집부
12-04-23
35 황제의 면류관은 왜 구슬을 드리웠을까요?
편집부
12-04-16
34 황제의 딸 왜 공주라고 부를까요?
편집부
12-04-09
33 태형을 가할 때 볼기만 친 이유?
편집부
12-04-03
32 옛사람은 왜 꽃가마로 신부를 맞이했을까요?
편집부
12-03-21
31 거안제미(擧案齊眉) 남편을 공경하는 뜻이 된 이유는?
편집부
12-02-07
30 고대에 주령(酒令)이 군령(軍令)처럼 엄하다고 한 이유....
편집부
12-01-31
29 손님 초대를 작동(作東)이라고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편집부
12-01-18
12345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634,321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