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우리말에 참한 처녀를 ‘양가댁 규수(閨秀) 같다’라고 하는 표현이 있습니다.
여기서 규수란 학문과 재주가 뛰어난 여자를 가리키고 규(閨)는 여자들이 거처하는 규방을 뜻합니다.
중국어에서는 흔히 청의(靑衣)라는 단어로 여자를 표현합니다. 그럼 왜 청의가 여자를 뜻하게 됐을까요? 원래 청의는 고대 제왕이나 후비가 봄에 입는 의상을 가리켰다고 합니다.
그러나 한(漢)대 이후 신분이 낮은 사람들이 청색이나 혹은 검은색의 옷을 입으면서 청의가 곧 청의를 입는 사람의 신분을 뜻하게 됐습니다.
가장 흔한 경우가 시녀나 궁녀, 하녀 또는 관청에서 일하는 하인 등이었으며, 곡을 연주하는 악공이나 벼슬을 하지 못하는 유생도 마찬가지로 청의 신분이었습니다.
청의란 단어가 특별히 여자를 뜻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중국 전통희곡과 관련이 있습니다.
희곡(戱曲)이란 우리나라에서 말하는 연극의 대본이 아니라 ‘놀이(戱)’와 ‘음악(曲)’이 결합한 형태의 중국 전통공연예술로서 경극(京劇)이 그 예입니다.
중국인들은 아주 오래전부터 등장인물의 성별, 연령, 유형, 성격, 기질 등의 특성과 사회적 배경을 근거로 역할을 나눠왔는데 경극에 이르러 등장인물의 역할이 크게 생(生), 단(旦), 정(淨), 축(丑) 네 가지 계통으로 나뉘었습니다.
이중 여성 캐릭터는 단 뿐이고 나머지는 모두 남성 캐릭터인데 생은 긍정적인 역할, 정은 사악한 역할, 축은 익살스러운 역할입니다.
이들 각 역할은 또 고도로 전문화되어 있으며 보통 한 명의 경극 배우는 평생 한 가지 역할을 위주로 합니다. 여성 캐릭터인 단에도 세부적인 구분이 있습니다.
성격이 온화하고 단정하며 장중한 중년 여성 역할을 정단(正旦), 성격이 활발하거나 심술궂은 역할은 화단(花旦), 나이가 많은 여자 역할은 노단(老旦), 무예가 뛰어나고 용맹한 여자는 무단(武旦)이라고 하는 등입니다.
대부분의 작품에서 여자 주인공은 정단이 맡는데 아름답고 우아하지만 기구한 팔자를 지닌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다보니 극중에서 하층민으로 추락해 많은 고생을 겪기도 하는데 미인인 여주인공이 하층민들이 주로 입던 수수한 청의를 입고 등장하면서 청의라는 단어는 아름다운 여인의 옷 내지는 아름다운 여인을 지칭하는 뜻으로 확장됐습니다.
청의 외에도 중국 문화에서는 여성을 가리키는 표현이 많은데 붉은 연지와 하얀 분을 뜻하는 홍분(紅粉), 얼굴에 바르는 분과 눈썹을 그리던 먹을 의미하는 분대(粉黛),원래 고대 미인의 이름인 나부(罗敷),아름다운 사람을 뜻하는 여인(丽人),옥같이 예쁜 사람의 옥인(玉人)등이 있습니다.
글/ 씬위(心語)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