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추(中秋)는 음력 8월 보름을 가리킵니다.
사계절을 음력으로 보면 7, 8, 9월이 가을에 해당하는데 7월은 맹추(孟秋), 8월은 중추(中秋), 9월은 계추(季秋)라고 합니다.
따라서 중추절(仲秋節)이란 의미는 중추인 음력 8월에 있는 명절이란 뜻으로 중국에서는 팔월반이라고도 하며 흩어졌던 가족이 함께 모여 크고 둥근달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단원절(團圓節)이라고도 합니다.
이날 중국인들은 월병(月餠)을 먹으며 하늘과 조상의 은혜에 감사하는 풍습이 있습니다. 이런 풍습은 당나라 때 시작돼 송나라 이후에 성행했으며 원나라를 거쳐 명청(明淸)시기에는 전통이 되었습니다.
중추절에 은혜에 감사하며 선물을 돌리는 풍습을 기록한 자료 중 ‘서호유람지여(西湖遊覽志餘)의 희조락사(熙朝樂事)’에는 명나라 때 중추절이 되면 월병을 선물하는 풍속이 있었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중국 전통문화를 비교적 잘 계승한 대만에서는 지금도 중추절이 되면 기업이나 단체장들이 직원들에게 선물이나 상여금을 하사해 격려하는 풍습이 남아 있습니다.
중추절에 달에 제사를 지내는 것은 아득한 상고시기부터 전해져온 예법입니다.
예기(禮記)에는 '천자(天子)는 봄에 태양에 제사를 지내고 가을에는 달에 제사를 지내는데 태양 제사는 아침에 지내고 달 제사는 저녁에 지낸다.(天子春朝日 秋夕月, 朝日以朝 夕月以夕)'라고 나옵니다.
가을이 되면 임금이 서쪽 교외에 있는 월단(月壇)에 가서 달에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도 남아 있습니다.
중추절에 집집마다 월병을 먹게 된 계기는 무엇일까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오늘은 역사를 근거로 한 재미있는 전설을 소개할까 합니다.
원나라 말엽 몽골의 탄압으로 신음하던 한족(漢族)들은 훗날 명태조인 주원장(朱元璋)을 중심으로 이민족을 몰아내고 한족의 왕조를 세우고자 했습니다.
그런데 당시 몽골의 법률이 엄격해 열 집에 과도 하나를 공용으로 쓰게 했을 정도여서 민중들이 병기(兵器)를 지니기란 지극히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또 의병을 일으킬 소식을 전달하려 해도 방법이 없었습니다.
이에 주원장의 책사 유백온(劉伯溫)이 묘안을 내어 장차 겨울에 돌림병이 발생할 텐데 중추절에 월병을 사서 먹는 사람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는 소문을 퍼뜨렸습니다.
소문은 큰 효과가 있어 사람들은 앞을 다퉈 월병을 사갔고 집에 돌아가 월병을 먹으려고 갈라 보니 안에 ‘8월 15일 달자(韃子) 몽골인들을 죽이고 집집마다 일제히 손을 쓰자’는 편지가 들어 있었습니다.
이에 많은 사람들이 동참했고 원나라 정권이 뒤집어졌습니다. 중추절에 월병을 먹는 풍속은 이때부터 크게 유행했다고 합니다.
씬치(心池)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