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우리는 흔히 인생의 좌우명(座右銘)이란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이 말을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자리 오른쪽에 놓인 명심할 내용이란 뜻이며 국어사전에는 '늘 자리 옆에 갖춰 두고 가르침으로 삼는 말이나 문구'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선인들은 자신의 좌우명을 시시각각 자신을 일깨워줄 수 있는 가까운 곳에 두고 일을 처리하거나 사람을 대함에 있어 경계로 삼았습니다.
자신을 경계(警戒)하는 격언을 적어 좌우명으로 삼는 것은 어디에서 유래했을까요?
좌우명이란 문선(文選)에 실린 최원(崔瑗)의 좌우명(座右銘)이란 글에서 비롯됐다고 합니다.
최원은 동한시대 저명한 학자 최인(崔駰)의 아들로서 어려서부터 배움에 뜻을 세워 18세 때 낙양으로 유학을 떠났습니다.
그곳에서 천문과 역서(曆書)를 익혔고 경방(京房)의 주역을 배웠으며 특히 글과 서예에 능란한 솜씨를 발휘했습니다.
그러나 형인 최장(崔璋)이 타살 당하자 분노를 이기지 못하고 직접 나서서 원수를 죽이고 관아의 추적을 피해 유랑생활을 했습니다.
다행히 몇 년 뒤 조정의 사면을 받아 고향에 돌아 온 그는 자신의 살인행위를 깊이 뉘우치고 덕행을 기르고자 글 한 편을 지어 좌우명이라 칭하고 책상 머리맡에 두고는 시시각각 자신의 언행을 경계했다고 합니다.
여기서 유래해 당나라 때 진자양(陳子昂), 백거이(白居易) 등의 문인들도 그를 본받아 자신들의 좌우명을 만들었다고 전해집니다.
그럼 여기서 잠시 최원의 좌우명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좌우명(座右銘)
無道人之短(무도인지단) 남의 단점을 험담하지 말고
無說己之長(무설기지장) 자신의 장점은 자랑하지 말라
施人慎勿念(시인신물념) 남에게 베푼 것은 생각하지 말고
受施慎勿忘(수시신물망) 남에게 받은 은혜는 절대 잊지 말라
無使名過實(무사명과실) 명성이 실제보다 넘치지 않게 하고
曖曖內含光(애애내함광) 어리석게 보이는 가운데 빛을 품어라
柔弱生之徒(유약생지도) 부드럽고 연약한 것이 생명력의 표현이니
老氏誡剛強(노씨계강강) 노자는 굳세고 강함을 경계했도다
行行鄙夫志(행행비부지) 행동만 앞서는 비루한 자의 뜻은
悠悠故難量(유유고난량) 시간이 지나면 닥칠 재앙을 가늠하기 어렵도다.
慎言節飲食(신언절음식) 말을 삼가고 음식은 절제하며
知足勝不祥(행지구유항) 만족함을 안다면 상서롭지 못한 것을 없앨 수 있도다.
行之苟有恒(행지구유항) 만약 이것을 꾸준히 실행할 수 있다면
久久自芬芳(구구자분방) 오래고 오래도록 스스로 향기를 내리라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