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난해하여 설명하기 곤란한 문제에 부딪혔을 때 우리는 곧잘 '이 내막을 이야기하려면 삼일밤낮은 걸릴 거야' 라는 식으로 회피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러면 왜 하필 삼일밤낮이라고 했을까요?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고사가 있습니다.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나라에 순우곤(淳于髡)이라는 학자는 견문이 넓고 기억력이 좋았으며. 또한 상대방의 언행을 보고 속마음을 읽어낼 줄 알았습니다.
한번은 어느 빈객이 양나라 혜왕(惠王)에게 순우곤에 대한 이야기를 해 주었습니다. 혜왕은 그의 말을 듣고 호기심이 생겨 두 차례나 순우곤을 접견 했으나 그는 시종 아무 말도 없었습니다.
혜왕은 기분이 상하여 그를 소개한 빈객을 불러 “그대가 순우선생이 관중(管仲)이나 안영(晏嬰)보다 한 수 위라고 평가하여 과인이 두 번이나 접견했건만 그에게 들은 말은 단 한마디도 없었소. 설마 내가 그를 상대할 자격조차 없다는 뜻이오?”라고 힐난했습니다.
이에 빈객이 순우곤을 찾아가 혜왕의 말을 전하자 순우곤은 “내가 처음 혜왕을 알현했을 때 그분의 마음은 온통 말에 쏠려 있었고 두 번째로 알현했을 때는 그분 관심이 여자가수에게 쏠려 있었습니다. 그 때문에 소인은 침묵할 수밖에 없었습니다”라고 설명해주었습니다.
빈객이 다시 혜왕을 찾아가 이 말을 전하자 왕은 그때서야 무언가를 깨달은 듯 크게 고개를 끄덕이며 말했습니다.
“그야말로 순우선생은 성인이오. 이제야 모든 것이 확실해졌소. 그가 처음 찾아왔을 때 마침 어떤 사람이 과인에게 말 한필을 가져와서 그 말을 살피느라 순우선생에게 마음을 쓰지 못했소. 순우선생이 두 번째로 과인을 만나러 왔을 때는 마침 초청한 가수가 노래를 하고 있어서 그 노래를 듣느라 순우선생의 접대를 홀시하였소. 그러니 내 잘못이 크오.”
오래지 않아 혜왕은 다시 한 번 순우곤을 접견했습니다.
이번에는 두 사람만의 공간에서 서로의 마음을 열어 보이며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연속 삼일밤낮을 같이 지내며 이야기를 나누었어도 그들의 대화는 끝이 나지 않았습니다.
혜왕은 그에게 높은 벼슬을 주고자 했지만 순우곤은 사양했습니다. 이에 혜왕은 그에게 말 네 필이 끄는 편안한 수레, 옷감, 벽옥 그리고 황금 백량을 선사했습니다.
높은 재주를 지녔음에도 순우관은 평생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습니다.
사람들은 이 일화에서 '삼일밤낮을 말해도 끝이 없다'는 구절을 인용해 난해하고 쉽게 말할 수 없는 일을 비유하는데 사용했습니다.
이것이 후대로 오면서 하나의 속담으로 변한 것입니다.
씬위(心語)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