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김예영(원명학당 원장)
[SOH] 망해가는 나라의 음악, 곧 나라를 망치는 음악이란 뜻으로, 음란하고 사치하여 국력을 피폐하게 하는 음악이나, 애조(哀調)를 띤 음악을 말합니다.
예기(禮記) ‘악기(樂記)’ 편, 한비자(韓非子) ‘십과(十過)’편 등에 나오는 말입니다.
춘추시대(春秋時代) 위(衛)나라 영공(靈公)이 진(晉)나라로 가다가 복수(濮水, 지금의 산동성 內) 강변에서 하루를 머무르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밤이 되자 기이한 음악소리가 들려왔습니다.
그 소리를 대단히 아름답게 여긴 영공은 즉시 수행원 중에서 사견(師涓)이란 악사를 시켜 그 음악을 악보로 옮기게 했습니다.
이윽고 진나라에 도착한 영공은 진 평공(平公) 앞에서 사견에게 그 음악을 연주하게 했습니다. 음악이 연주되자 잠시 후 함께 음악을 듣고 있던 진나라의 악사 사광(師曠)이 깜짝 놀라 황급히 연주를 말리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것은 망국의 음악이오.”
깜짝 놀란 영공이 영문을 묻자 사광은 이렇게 그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임금님께서는 틀림없이 이 음악을 복수 근처에서 들었을 것입니다. 옛날 은(殷)나라의 마지막 임금 주왕(紂王) 때에 사연(師延)이란 악사가 있었습니다. 당시 주왕은 사연이 만든 신성백리(新聲百里)라는 음란한 음악에 도취하여 주지육림(酒池肉林) 속에서 음락(淫樂)에 빠졌다가 결국 주(周)나라의 무왕(武王)에게 멸망당하고 말았습니다. 그러자 사연은 복수에 몸을 던져 자살했는데, 그 후 복수를 지나는 사람은 누구나 이 음악을 듣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망국의 음악’이라고 두려워하며 그곳을 지날 때마다 귀를 막았다고 합니다. 지금 연주한 음악이 바로 그 음악입니다.”
한편 예기 ‘악기’편에도 ‘상간복상의 음악(桑間濮上之音, 복수와 뽕나무풍 사이에서 들려오는 음악)은 망국지음(亡國之音)이다.’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또 ‘무릇 음악이란 사람의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것으로 정이 마음에서 울리면 이로 인해 소리가 형성되고, 이 소리가 문체를 갖추게 되면 음악이 된다.
이런 연유로 잘 다스려진 시대의 음악은 편안하고 즐거우며 그 정치도 조화를 이루는데 반하여, 어지러운 시대의 음악은 원망에 차 있고, 노여움으로 떨리며 그 정치도 괴리가 심하다.
더욱이 망해가는 나라의 음악은 슬프고 근심이 많으며 백성들은 피곤하다’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예기에서는 한 시대의 음악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고 있는데, 치세(治世), 난세(亂世), 망국의 음악입니다. 사람의 생각이나 생활 역시 그들이 처한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음악도 이를 반영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은 어디일까요?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