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03(목)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형설지공(螢雪之功)

편집부  |  2013-02-19
인쇄하기-새창

글/김예영(원명학당 원장)

 

[SOH] 반딧불과 눈빛으로 공부하여 얻은 보람, 곧 반딧불과 눈빛으로 책을 보아가며 공부했다는 고사에서 비롯되어 고학(苦學)으로 학업을 성취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서재를 가리키는 ‘형창설안(螢窓雪案, 반딧불 창과 눈빛 책상)’이란 말도 이 고사에서 나왔습니다.


진서(晉書) ‘차윤전(車胤傳)’과 당나라 이한(李澣)이 쓴 몽구(夢求)등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진나라 효무제(孝武帝) 때의 인물로 차윤과 손강(孫康)이 있었습니다. 이 두 사람은 모두 고학으로 학문을 크게 이룬 인물로 유명합니다.


차윤은 어릴 적부터 사려 깊고 부지런하였으며 항상 끈기 있게 노력하였습니다. 그러나 집이 너무 가난하여 밤에 책을 읽으려 해도 등잔불을 켤 기름을 살 수가 없었습니다.


낮에는 일을 해야 하고 밤에는 불이 없어 글을 못 읽어 안타까워하던 어느 날 여름, 반딧불이 이리저리 날아다니며 빛을 발하는 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차윤은 한 꾀를 생각해 냈습니다.


곧 그는 엷은 명주 주머니를 구하여 그 안에 반디를 가득 잡아넣고는 그 빛으로 밤에 독서를 한 것입니다. 이렇듯 간고한 상황에서도 열심히 공부한 그는 효무제 즉위 후 발탁되어 이후 이부상서(吏部尙書)의 벼슬까지 올랐다고 합니다.


어릴 적부터 마음을 수양하는데 힘썼던 손강 역시 차윤과 마찬가지로 집이  매우 가난하였습니다.


그 역시 불을 켤 기름이 없어 밤에 책을 읽을 수 없었습니다.


그는 겨울에는 언제나 창가에 앉아 밖에서 들어오는 눈 빛을 불빛삼아 책을 읽었습니다. 이렇듯 간고한 환경에서도 굴하지 않고 열심히 학문에 매진하였던 손강 역시 후에 어사대부(御史大夫)가 되었습니다.


이로부터 고학으로 성공하는 것을 일러 ‘형설의 공을 쌓다’라고 일컫게 되었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80 정중지와(井中之蛙)
편집부
13-04-15
79 대기만성(大器晩成)
편집부
13-04-01
78 양약고구(良藥苦口)
편집부
13-03-25
77 도청도설(道廳塗說)
편집부
13-03-18
76 회사후소(繪事後素)
편집부
13-03-11
75 후목불가조(朽木不可雕)
편집부
13-03-04
74 군자표변(君子豹變)
편집부
13-02-26
73 형설지공(螢雪之功)
편집부
13-02-19
72 야서지혼(野鼠之婚)
편집부
13-02-12
71 문경지교(刎頸之交)
편집부
13-02-04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593,202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