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김예영(원명학당 원장)
[SOH] 사이비는 비슷하지만 실은 아님, 겉은 진짜같이 보이지만 실상은 그것이 아닌 다른 가짜임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논어(論語) ‘양화(陽貨)’편, 맹자(孟子) ‘진심(盡心)’편 등에 나옵니다.
맹자가 이렇게 말했습니다.
“ ‘사이비’란 사람은 위선자(僞善者)요 사기꾼이다. ‘사이비’란 물건은 가짜요 모조품이다. ‘사이비’란 행동은 위선이요 가면이요 술책이다. 유사종교니 유사품이니 하는 것도 다 ‘사이비’를 말한다. 이 세상을 어지럽히는 것 중에 ‘사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클 것이다.”
어느 날 맹자에게 제자 만장(萬章)이 물었습니다.
“한 지방 사람들이 다 그를 원인(原人, 훌륭한 사람)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어디를 가든 원인(原人)일 터인데, 공자께서 그들을 ‘덕(德)을 해치는 도둑이다(<논어> ‘양화’편)’라고 하신 것은 무슨 까닭입니까?”
여기에서 원인(原人)이란 향원(鄕原)을 가리키는 말로서, 겉으로는 군자인 것 같으나 행실은 소인(小人)인 거짓 군자를 뜻합니다.
맹자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그들을 비난하려 해도 딱 들어서 비난할 것이 없고, 풍자하려 해도 풍자할 것이 없다. 세속에 동화하여 더러운 세상에 영합하여, 집에 있을 때는 충(忠)과 신(信)이 있는 것 같고 나아가 행하면 청렴결백한 것 같다. 그래서 사람들이 다 그를 좋아하고 스스로도 옳다고 여기되, 함께 ‘요순의 도(堯舜之道: 유교에서 이상으로 그리는 정치)’에 들어갈 수는 없다. 그 때문에 공자께서는 덕을 해치는 도둑이라고 하신 것이다.”
맹자는 또 이어서 공자의 말씀을 인용하였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사이비를 미워하나니, 가라지(잡초이름)를 미워하는 것은 그것이 벼 싹을 어지럽힐까 두려워해서이고, 말재주 있는 자를 미워하는 것은 정의를 어지럽힐까 두려워해서이고, 말 잘하는 입을 가진 자(利口:말이 많으나 성실하지 못한 자)를 미워하는 것은 신의를 어지럽힐까 두려워해서이고, 정나라 음악(鄭音:음란한 음악이었음)을 미워하는 것은 아악(雅樂)을 어지럽힐까 두려워해서이고, 자주색을 미워하는 것은 붉은 색을 어지럽힐까 두려워해서이고, 향원을 미워하는 것은 덕을 어지럽힐까 두려워해서이다’라고 하신 것이다.”
이 밖에도 공자는 곳곳에서 사이비의 해악(害惡)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그 중 ‘양화’편에 나오는 몇 가지를 간추려 보면, ‘얼굴빛은 위엄이 있으면서 마음이 유약한 것을 소인(小人)에게 비유하면 벽을 뚫고 담을 넘는 도적과 같을 것이다.’, ‘향원은 덕의 적이다.’, ‘나는 자주색이 붉은 색을 빼앗는 것을 미워하며, 정(鄭)나라 음악이 아악(雅樂)을 어지럽히는 것을 미워하며, 말 잘하는 입(利口)이 나라를 전복시키는 것을 미워한다.’
가짜보다 더 나쁜 것이 ‘진짜 같은 가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아예 가짜임이 확연히 드러난다면 사람들이 거기에 속지 않겠지만, 교묘하게 가짜인데도 마치 진짜 인듯하게 속인다면 깜박 속아 넘어갈 것이고, 더구나 그로 말미암아 진짜마저 의심받고 망치게 될 것입니다.
사이비가 횡행하게 되면 세상에는 진짜를 알아볼 수 없게 되니 사이비는 진짜의 적이 되는 것이지요.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