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04(금)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유좌지기(宥坐之器)

편집부  |  2012-02-20
인쇄하기-새창

글/김예영(원명학당 원장)

 

[SOH] 유좌지기(宥坐之器)는 늘 곁에 두고 보는 그릇이란 뜻으로 곧 마음을 적당히 가지라는 뜻을 새기기 위해 늘 곁에 두고 보는 그릇이란 뜻입니다.


유좌지기의 교훈이라고 하면 공자가어(孔子家語)에 나오는 말로 곧 속을 비우지도 말고 가득 채우지도 말고 적당한 선에서 조정하라는 교훈이지요.


공자가 주(周)나라 환공(桓公)의 사당(祠堂)에 간 일이 있었습니다.


사당 안에는 의기(儀器, 의식에 쓰이는 의례용 기구)가 있었습니다. 그것은 자유로이 기울어질 수 있도록 그릇을 매달아 놓은 기구였습니다.


공자가 사당을 지키는 이에게 물었습니다.


“이것은 무엇을 하는 그릇입니까?”


그러자 사당지기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늘 곁에 두고 보는 그릇입니다.”


그 말에 공자는 고개를 끄덕이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도 들은 적이 있거니와 유좌지기는 속이 비면 기울어지고 적당하게 물이 차면 바로 서 있고 가득 채워지면 엎질러진다고 했지요.”


예(禮)에 관한 것이라면 모르는 것이 없이 해박하였던 공자가 사당지기에게 이 의기에 대해 물어 본 것은 이 의기를 몰라서가 아니라 그가 사당을 지키고 있는 사람이기 때문에 예로서 물어 본 것입니다.


유좌지기는 속이 비면 이리저리 기울고 그렇다고 가득 채우면 그만 엎질러져 버리게 만든 그릇입니다. 적당하게 물이 차야 중심을 잘 잡고 서 있을 수 있는 것이지요.

 

따라서 그것은 사람이 마음을 어떻게 간수해야 하는가를 상징하는 그릇이 됩니다.


명예도 재물도 세상일을 아무것도 이루지 못한 것도 딱하지만 가득  채우는 것 역시 좋지 못하지요. 엎어져버리고 말기 때문입니다.

 

공자도 그러한 뜻을 알았기에 고개를 끄덕인 것입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40 삼인성호(三人成虎)
편집부
12-03-19
39 망양지탄(望洋之歎)
편집부
12-03-12
38 교토삼굴(狡免三窟)
편집부
12-02-27
37 유좌지기(宥坐之器)
편집부
12-02-20
36 양금택목(良禽擇木)
편집부
12-02-15
35 마부작침(磨斧作針)
편집부
12-02-06
34 문정경중(問鼎輕重)
편집부
12-01-30
33 창업수성(創業守成)
편집부
12-01-17
32 공휴일궤(功虧一簣)
편집부
12-01-09
31 유방백세(流芳百世), 유취만년(遺臭萬年)
편집부
12-01-03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634,321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