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김예영(원명학당 원장)
[SOH] 마부작침(磨斧作針)은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참고 노력하면 언젠가는 반드시 성공한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끈기있게 학문이나 일에 정진하는 것을 비유할 때도 쓰입니다.
철저성침(鐵杵成針, 쇠공이로 바늘을 이룸), 마저작침(磨杵作針, 절구 공이로 바늘을 만듬), 마저성침(磨杵成針)이라고도 합니다.
우공이산(愚公移山), 수적천석(水滴穿石) 등도 같은 비유에 쓰이는 말이지요. 당서 문원전(文苑傳), 방여승람(方輿勝覽)등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시성 두보(杜甫)와 함께 쌍벽을 이루었던 시선 이백(李白)은 어렸을 때 아버지를 따라 촉(蜀) 땅의 성도(成都)에서 성장하였습니다.
그때 그는 학문을 대성하기 위해 상의산(象宜山)이란 곳에 들어가 공부했습니다.
어느 날 공부에 싫증이 난 그는 산을 내려와 집으로 가는 도중에 어느 냇가에 이르러 한 노파를 만났습니다. 그런데 노파가 무엇인가를 바위에 열심히 문지르고 있는지라 그가 유심히 살펴보니 그것은 다름아닌 도끼가 아니겠습니까? 이백은 고개를 갸웃거리다가 다가가 물었습니다.
“할머니, 뭘 하고 계신 겁니까?”
노파는 쉬지 않고 부지런히 손을 놀리며 대답했습니다.
“이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들려고 하고 있단다.”
이백을 입을 쩍 벌렸습니다. ‘도끼를 바늘로 만들다니?’ 다시 물었습니다.
“그렇게 큰 도끼를 간다고 바늘이 되겠습니까?”
“되고말고. 중도에 그만두지만 않는다면 되고말고.”
노파의 이 대꾸를 들은 이백은 크게 감동했습니다. 이윽고 그는 노파에게 인사한 뒤 다시 산으로 올라갔습니다. 집으로 돌아가려던 생각을 바꾼 것이지요.
그 후 이백은 공부하다가 정신이 해이해질 때마다 항상 그 노파를 생각하며 마음을 가다듬고 열심히 학문에 매진했다고 합니다.
어려운 일에 부딪칠 때마다 그 노파의 말을 되새겨 보면서 꾸준히 노력하여 마침내 위대한 시인이 되었던 것이지요.
이 이야기는 민간에 널리 전해지는 이야기로 철저마침(鐵杵磨鍼)이라고도 하는데 우리말 속담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라는 ‘십벌지목(十伐之木)’과 비슷한 말입니다.
즉 어떤 일이든지 꾸준히 노력하여 해나가면 언젠가는 반드시 성공한다는 말입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