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김예영(원명학당 원장)
[SOH] 문정경중(問鼎輕重)의 글자 뜻은 솥의 경중(輕重)을 묻다 인데 원래 제위를 엿보는 속셈을 은근히 표현해보는 것에서 비롯된 말입니다.
오늘날에는 상대의 실력과 내부 사정을 살펴 그 약점을 떠보는 것, 혹은 그 약점을 파악해서 공격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 쓰입니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사기, 초세가(楚世家)에서 나온 말입니다.
춘추시대 초나라의 장왕(莊王) 때 일입니다. 장왕은 초의 세력권을 넓히기 위해 기원전 606년 봄, 육혼(陸渾) 지방의 융족을 토벌하고 돌아오는 길에 낙수(洛水) 근처로 나왔습니다.
낙수의 북쪽에는 주나라의 도읍 낙양(洛陽)이 있었는데 그 근처 국경에 대군을 주둔시킨 것이지요.
주나라의 정왕(定王)은 초나라의 시위에 놀라 대부 왕손만(王孫滿)을 보내 장왕의 노고를 위문케 했습니다. 그런데 왕손만을 만난 장왕은 왕손만에게 주나라에 있는 구정(九鼎)의 크기와 무게를 물었습니다.
구정(九鼎)은 고대 순(舜) 임금, 우(禹) 임금 때 주조되었다고 전하는데 천자의 덕을 상징하는 거대한 솥으로서 하, 은, 주 대대로 천자가 계승해 오는 보물이었습니다.
장왕이 구정의 대소경중(大小輕重)을 물은 것은 언제든 제위의 상징이기도 한 구정을 차지하여 천자의 자리에 앉아보겠다는 속셈의 표현이자 은근한 협박이기도 했지요.
그런 속셈을 간파한 왕손만은 장왕에게 솥의 유래를 길게 설명하고 나서 이렇게 덧붙였습니다.
“솥의 경중 따위가 문제가 아니라 덕(德)이 있는가 없는가가 문제입니다. 천자의 덕이 있다면 작은 솥이라도 무겁게 버티고 있는 것이고 덕이 흐려져 있다면 큰 솥이라도 가볍게 옮겨질 수 있으니 솥은 항상 덕이 있는 곳에 옮겨져 왔던 것입니다. 하(夏)나라의 걸왕(桀王)이 쇠퇴하자 솥은 은(殷)나라로 옮겨가고 은의 주왕(紂王) 때 덕이 쇠퇴하자 다시 주(周)나라로 옮겨갔습니다. 오늘날까지 주나라가 솥을 전해 온 것은 하늘의 명입니다. 주나라의 덕이 쇠했다고는 하지만 아직 천명(天命)은 바뀌지 않았습니다. 그러니 솥의 경중은 아직 물으실 일이 아닐 것입니다.”
조리 있으면서도 단호한 이 대답에 장왕은 무력(武力)만으로는 아직 주나라를 칠 수 없음을 깨닫고 철군하였습니다.
이로부터 ‘솥의 경중을 묻는다’고 하면 제위를 엿보다 혹은 상대의 형편을 보아 공격한다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