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03(목)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공휴일궤(功虧一簣)

편집부  |  2012-01-09
인쇄하기-새창

글/김예영(원명학당 원장)

 

[SOH] 흙을 돋우어 산을 만들 때 높이 쌓은 공이 한 삼태기의 흙 때문에 이지러뜨려질 수 있다는 뜻입니다.


즉, 잠깐의 사소한 방심으로 해서 거의 성취되어 가는 일을 그만 중단했기 때문에 다된 일이 실패로 돌아감을 말합니다.


서경(書經) 여오(旅獒)편에 나오는 말이지요. 논어(論語) 자한(子罕)편에서도 이와 비슷한 말을 하고 있습니다.


서경 여오편에 이런 기사가 있습니다.


무왕(武王)이 은(殷)나라를 멸망시키고 주(周)왕조를 열고나서 얼마 후였습니다. 주나라의 위세가 나날이 떨쳐지게 되자 변방 여러 만족(蠻族)들이 다투어 공물을 헌상했습니다.

 

그중에 여(旅)라는 나라로부터 헌상된 오(獒)라는 진귀한 개가 있었습니다. 오는 키가 4척에 이르는 큰 개로서 사람의 뜻을 잘 알아듣는 영물이었습니다.


무왕은 이 선물을 앞에 놓고 크게 기뻐했습니다.


그것을 본 아우 소공 석(召公 奭)이 그런 사소한 것에 마음을 빼앗겨서 정치를 소홀히 하면 안된다고 무왕에게 간하였습니다.


소공은 ‘사람을 희롱하면 덕을 잃고 물건을 희롱하면 뜻을 잃는다’는 ‘완인상덕 완물상지(玩人喪德 玩物喪志)’의 경고를 하고 이어서


아아, 밤낮으로 덕에 뜻을 두지 않을손가
작은 일이란 삼가지 않는다면
끝내 대덕을 이루지 못하리니,
산을 만드는 일에 구인(九仞)의 공(功)을
한 삼태기의 흙으로 이지러뜨린다네(爲山九仞 功携一簣).


라고 노래함으로써 무왕을 경계하였습니다.


산을 만드는 데 아홉 길의 높이까지 이루었다 해도 얼마 안 되는 한 삼태기의 흙이 부족하면 산이 완성되지 않는 것처럼 주 왕조 창업의 위대한 공적도 단지 한 마리의 개에 마음을 빼앗겨 잠깐이라도 방심한다면 그르칠 수 있다는 것을 깨우친 것입니다.


또  논어 자한 편에도 다음과 같은 공자의 말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학문하는 것을) 비유하자면 산을 만듦에 마지막 흙 한 삼태기를 (붓지 않아 산을) 못 이루고서 중지하는 것도 내 자신이 중지하는 것과 같으며, 비유하면 (산을 만드는 데) 평지에 흙 삼태기를 처음 붓는 것이라 하더라도 나아감은 내 자신이 나아가는 것과 같다.’


주자는 이 구절을 설명하면서 ‘배우는 자들이 스스로 힘쓰고 쉬지 않으면 작은 것을 쌓아 많은 것을 이루지만, 중도에서 그만두면 지난날의 성공이 모두 허사가 된다. 그 중지함과 나아감이 모두 자신에게 달려 있지 남에게 달려 있는 것이 아니다’고 했습니다.


천릿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우리 속담이 있는데 차근차근 시작함이 중요하다는 말이지요.


공휴일궤라는 말은 마지막 끝까지 최선을 다할 것을 말합니다.

 

천릿길의 시작은 한 걸음부터이지만 그 길의 완성 또한 마지막 한 걸음을 잘 걸어야 하는 것이겠지요. 공휴일궤란 성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40 삼인성호(三人成虎)
편집부
12-03-19
39 망양지탄(望洋之歎)
편집부
12-03-12
38 교토삼굴(狡免三窟)
편집부
12-02-27
37 유좌지기(宥坐之器)
편집부
12-02-20
36 양금택목(良禽擇木)
편집부
12-02-15
35 마부작침(磨斧作針)
편집부
12-02-06
34 문정경중(問鼎輕重)
편집부
12-01-30
33 창업수성(創業守成)
편집부
12-01-17
32 공휴일궤(功虧一簣)
편집부
12-01-09
31 유방백세(流芳百世), 유취만년(遺臭萬年)
편집부
12-01-03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593,202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