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김예영(원명학당 원장)
[SOH] 글자 그대로 하면 ‘공자(孔子)가 구슬을 꿰다’인데, 공자가 시골 아낙에게 물어 구슬을 꿰었다는 뜻입니다.
자기보다 못한 사람에게 묻는 것을 수치로 여기지 말라는 교훈을 담고 있는 불치하문(不恥下問)과 같은 말입니다.
조정사원(祖庭事苑)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공자가 진나라를 지나갈 때의 일입니다.
어느 날 아홉 구비나 구부러진 구멍이 있는 진기한 구슬을 얻은 공자는 그 구슬에 실을 꿰려고 했지만 번번이 실패했습니다.
아무리 실을 세우고 요리조리 돌려도 구불구불한 구멍 속으로는 도저히 실이 꿰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아낙네라면 그 방법을 알고 있을 것도 같아 근처에서 뽕을 따고 있던 아낙네에게 그 비결을 물었습니다.
아낙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곰곰이 생각하십시오. 생각을 조용히 하십시오.(密爾思之 思之密爾)”
공자는 잠시 생각 끝에 곧 그 뜻을 깨닫고는 개미를 잡아다 개미허리에 실을 매었습니다.
그리고 개미를 구슬의 한 쪽 구멍에 밀어 넣고 다른 쪽 출구가 되는 구멍 입구에 꿀을 발라 유인했습니다. 마침내 실을 매고 있는 개미가 꿀을 찾아 출구로 나왔습니다. 실이 꿰어진 것입니다.
공자는 특히 배우는 데 있어서 겸손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또 스스로를 몹시 배우기 좋아하는 인물이라고 자평하기도 했습니다.
‘학문에 발분하면 밥 먹는 것도 잊고 즐거워서 근심 걱정도 잊으며 늙어가는 것조차 알지 못한다(發憤忘食 樂以忘憂 不知老之將至)’
‘배우고 그때그때 익히면 기쁘지 아니한가(學而時習之 不亦說乎)’
공자는 특히 배우는 일을 매우 중요시 했으며 배움에 있어서는 나이의 많고 적음이나 신분의 높고 낮음에 관계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상대가 누구든 가리지 않고 나의 생각과 행동을 다듬은 스승으로 삼은 것이지요.
이렇게 배우는 일에 열심이었으니, 당연히 공자의 눈에는 일마다 사람마다 배울 점이 있는 것으로 보인 것입니다. 그러니 뽕밭의 여인에게선들 어찌 배우지 못하겠습니까!
‘세 사람이 길을 가면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三人行 必有我師)’라는 유명한 말도 그래서 나온 것입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