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김예영(원명학당 원장)
[SOH] 우공이산(愚公移山)은 우공, 어리석은 사람이 산을 옮긴다는 뜻입니다. 무슨 일이든지 우직하게 꾸준히 끝까지 노력하면 어떤 어렵고 큰일이라도 결국에는 이루어진다는 것을 비유하는데 쓰는 말입니다.
열자(列子) 탕문(湯問)편에서 유래합니다.
춘추시대 사상가인 열자의 사상을 기술한 열자에는 재미있는 우화가 많이 등장하는데요, 이 우공이산의 우화도 그 중의 하나입니다.
옛날 아흔 살이나 된 우공이란 노인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가 사는 집이 사방 둘레가 7백리나 되고 높이가 만 길이나 되는 태행산과 왕옥산이 가로막고 있어서 왕래하는데 아주 불편하였습니다. 그래서 우공은 어느 날, 가족을 모아 놓고 의논을 했습니다.
“나는 너희들과 함께 힘을 모아 저 두 산을 깎아 예주의 남쪽으로부터 한수 남쪽까지 이르도록 길을 내고 싶은데 어떠냐?”
이 물음에 모두들 의논하던 차에 아내가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습니다.
“아니, 늙은 당신의 힘으로는 저 괴보(魁父)의 언덕조차 덜어내지 못할 터인데, 태행산이나 왕옥산 같은 큰 산을 어떻게 하시겠다는 말씀인가요? 또 파낸 흙과 돌은 어떻게 하시렵니까?”
“발해의 끝 은토의 북쪽에다 갖다 버릴거요.”
우공은 아무렇지도 않게 대답했고 아내는 고개를 휘휘 저었습니다.
우공은 아들과 손자들을 데리고 바로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돌을 깨고 흙을 파서 삼태기로 발해까지 갖다 버리고 돌아오는 엄청난 일이었지요. 한 번 갔다 돌아오는데 꼬박 1년이 걸렸습니다.
어느 날 황하 유역에 사는 지수라는 노인이 비웃으며 ‘죽을 날이 멀지 않는 노인이 산의 한 터럭조차 훼손하지 못할 터인데 그 많은 흙과 돌을 어떻게 할 것이냐’면서 그만 두라고 하였습니다.
그러자 우공은 길게 탄식하며,
“내가 죽으면 내 아들이 있다. 아들은 또 손자를 낳을 테고 손자는 또 그 아들을 낳고 아들은 또 아들을 낳고 또 아들은 손자를 낳을 것이니 이렇게 자자손손 계속해서 산을 깎을 것이다. 그렇지만 산은 더 높아지지 않을 터이니 언젠가는 저 두 산이 평평해지겠지.”
지수는 이 말에 대답할 말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정작 깜짝 놀란 이가 있었으니 바로 태행산과 왕옥산을 지키는 사신이었습니다. 정말 그렇게 그치지 않고 계속한다면 큰일이라고 생각한 사신은 서둘러 상제에게 가 호소하였고 우공의 정성에 감동한 상제는 과아씨(夸娥氏)의 두 아들에게 명하여 각각 두 산을 업어 하나는 삭(朔) 땅의 동쪽에 하나는 옹(雍) 땅의 남쪽에 옮겨 놓게 했답니다.
이로써 산을 없애려는 우공의 계획도 이루어지고 사신 역시 살 곳을 잃지 않게 되었으니 멋지게 해결이 된 셈이었죠.
중국의 삭동과 옹남지역에 있는 태행산과 왕옥산은 본래 기주(冀州, 하북성) 남쪽 하양(河陽, 하남성) 북쪽에 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옛날에는 두 산이 있었던 기주와 한수 남쪽엔 작은 언덕조차 없다는 군요.
여기에서 쉬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는 비유로 우공이산이란 성어를 쓰게 되었습니다.
우리 사회에 만연된 병폐 가운데 일확천금을 노리면서 이기주의에 빠진 현대인들의 병리 현상은 사회적 문제까지 야기하는데, 이 우공이산이라는 고사는 마음속에 새겨야 할 이야기가 아닌가 합니다. 무슨 일이든지 어렵다고 포기 하지 말고 한 걸음 한 걸음 착실하게 하라는 교훈이지요.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