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천포쿵(陳破空 시사평론가)
[SOH] 서방국가의 매스컴은 늘 자국의 부정적인 뉴스를 눈에 잘 띄는 위치에 놓습니다. 예를 들면, 재해, 범죄사건, 실업의 증가, 정치인 스캔들 등입니다.
한국, 멕시코, 대만 등 신흥 민주국가들은 걸핏하면 여야 정당이 싸움을 벌이며 심지어 국회에서 서로 욕을 하거나 폭력을 쓰기도 합니다.
일부 중국인들은 이런 현상을 근거로 '대체 민주가 좋은 점이 무엇인가? 민주는 바로 한바탕 혼란에 불과하며, 만약 민주가 이런 것이라면 중국에서는 절대 필요 없다'는 등의 인식을 말합니다. 만약 단지 매스컴 보도를 통해 서방을 알려한다면, 혼란스런 인상을 갖기 쉽습니다.
다행이 많은 중국인들이 서방에 가본 적이 있고, 이런 국가들의 높은 문명수준과 전례 없는 발전을 목격하고 나서야 비로소 서방 매스컴의 보도는 사실 편안한 상황에서 위기를 걱정하는 것으로, 예방 작용과 건설적인 기능이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매스컴의 보도를 뛰어넘어 가까이에서 서방과 대만을 보면, 그 인상이 사뭇 다릅니다. 원래 민주의 혼란한 현상은 눈으로 볼 수 있고 인위적으로 확대한 것이기 때문에 표면적입니다.
반면 독재의 어지러운 현상은 오히려 눈으로 보이지 않고 인위적으로 축소했기 때문에 깊고 심각한 것입니다. 중국 대륙에서는 토지 징수와 강제철거, 혹은 기층의 선거부정 때문에 늘 민중들이 경찰과 대규모 충돌을 일으킵니다.
심지어 관용차량이 시민을 다치게 하거나 관리들이 민간의 부녀를 강간해도 툭하면 만 명이 넘는 폭동이 발생합니다.
민중의 분노는 막을 길이 없어 차량을 부수고 건물을 불태우는데, 중공 당국은 많은 무장경찰을 동원해 사람을 구타하고 체포하거나, 심지어 총을 쏘아 진압합니다.
중국에서 이런 어지러운 현상은 비일비재하며 매달 발생합니다. 단지 중공이 관련 소식을 봉쇄하기 때문에, 해외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돌고 돌아서 겨우 소식을 알 수 있을 뿐입니다.
각지의 소식은 서로 격리되어 민중들도 서로 내막을 모르며, 목격자들은 모두 고립된 사건으로 알고 활화산 위에 앉아 중국을 태평성세로 여깁니다. 민주를 처음 할 때 나타나는 혼란한 현상은 임산부가 출산하기 직전의 진통과 같습니다.
진통 이후, 새로운 생명이 탄생합니다. 반면 독재의 혼란한 현상은 암세포가 기세를 부리고 눈에 띄지 않게 발작하는 것과 같아서 결국에는 사망에 이릅니다.
민주는 과장된 몸짓의 희극이지만, 그 결과는 해피엔딩입니다. 반면 독재는 아무 말도 하지 않는 판토마임이지만, 그 결과는 비극입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