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04(금)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SOH 이슈] ‘자유’와 ‘민주’의 위기(2)

디지털뉴스팀  |  2024-10-30
인쇄하기-새창

[SOH] (전편에 이어) 역사상 성공적인 사회주의 혁명으로 가는 길의 징후는 항상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자유롭고 민주적인 사회에서 권의주의 국가로의 전환을 향한 정부의 경로를 파악하려면 신중한 계산이 필요하다,

아마도 그 첫 단계는 언론 통제로부터 시작할 것이며 통제의 범위를 확대하여 최종적으로 돈을 중앙정부에서 완전히 통제하는, 즉 예를 들어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CBDC) 같은 시스템에 이르면 사람들은 뭔가를 깨닫기 시작할 것이다. 

이와 관련해 캐나다의 사례를 중심으로 들여다보겠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가 이끄는 캐나다 자유당 정부는 사회주의 정치 방법론을 드러내고 있다. 물론 그들은 이러한 주장을 ‘극우세력의 공포 선동’이라고 비난한다.

마오쩌둥과 레닌 같은 20세기 사회주의 혁명가들은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기본인 “가진 자와 갖지 못한 자”로 사회를 양분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렇게 계급을 분열시켜 서로를 갈등하게 만드는 것으로부터 사회주의 혁명은 시작된다.  

캐나다와 같은 서구권에서는 과거와는 다른 방식으로 계급을 분류한다. 그들은 ‘억압받는 소수’라는 개념을 만들어냈다.

예를 들어 성소수자 커뮤니티, 이민자 커뮤니티, 무슬림, 중국인 등이 캐나다의 억압받는 소수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이들을 억압하는 계층, 즉 ‘가진 자’의 편에는 백인 캐나다인이 있다.

모든 사회주의 혁명은 같은 방식으로 시작된다. 대중의 분열, 즉 ‘분할과 정복’ 모델이다. 사람들을 그룹화하고 서로 대립시킴으로써 일반 대중은 곧 ‘진짜 적이 누구인지’를 잊어버리게 된다.

이를 신마르크스주의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는데, 이는 과거 마르크스주의의 ‘계급투쟁’ 개념에 인종과 성별에 따른 적대감을 더한 보다 강화된 개념이다. (계속)

미국 인사이드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관련기사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688 [SOH 산책] AI, 인간의 양심도 탑재할 수 있을까?(상)
디지털뉴스팀
24-11-11
1687 [SOH 이슈] ‘자유’와 ‘민주’의 위기(5)
디지털뉴스팀
24-11-02
1686 [SOH 이슈] ‘자유’와 ‘민주’의 위기(4)
디지털뉴스팀
24-11-01
1685 [SOH 이슈] ‘자유’와 ‘민주’의 위기(3)
디지털뉴스팀
24-10-31
1684 [SOH 이슈] ‘자유’와 ‘민주’의 위기(2)
디지털뉴스팀
24-10-30
1683 [SOH 이슈] ‘자유’와 ‘민주’의 위기(1)
디지털뉴스팀
24-10-29
1682 [SOH 산책] ‘향(香)’에 대하여
디지털뉴스팀
24-10-29
1681 [문화] 가을 끝, 겨울 시작... ‘상강(霜降)’
한지연 기자
24-10-23
1680 인체서 식품 포장재 등 화학물질 3600여종 검출
디지털뉴스팀
24-10-08
1679 [아하!그렇구나] ‘한로(寒露)’... 찬 이슬 속에 가을이 ....
강주연 기자
24-10-08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593,202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