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은 모든 인류의 꿈이다. 인류는 수천 년 동안 불로장생을 가능케 하는 단약(丹藥)과 묘방(妙方)을 찾고자 해왔고, 현대의학에서 역시 장수 유전자를 찾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다양한 건강법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100세까지 건강하게 생존하는 사람은 드물다. 그러나 중국 역사에는 당나라 명의 손사막(孫思邈), 명나라 도사 장삼풍(張三豊), 청나라 의사 이청운(李淸雲) 등 100세가 훌쩍 넘도록 건강하게 살았던 인물에 대한 기록이 적지 않다.
중국에서는 고대부터 인간의 수명에 대한 논의가 활발했다. 중국 전통의학(중의학)의 바이블인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는 장수의 조건을 제시하는 동시에 “사람은 하늘에서 부여한 수명(100세)이 있으며 이를 천년(天年)이라고 한다”면서 “천년(天年)을 넘어서까지 살고자 한다면 반드시 건강을 관리해야 하고, 불로장생을 원한다면 반드시 수불(修佛), 수도(修道)에 힘써야 한다”고 가르쳤다.
손사막과 장삼풍, 이청운 세 고인(高人)의 건강법을 소개한다.
■ 손사막... 담담함과 덕행을 강조한 양생법
손사막은 품행을 바르게 하며 살아간다면 영약(靈藥)의 도움 없이도 장수할 수 있다고 믿었다. 양생선양성(養生先養性;양생은 양성부터>이라는 말이 바로 이 뜻이다.
황제내경에서 제시한 최고의 양생법은 바로 "사람의 본래 된 기운은 관조(觀照)와 허무의 상태에서 발현되니, 정신을 산란시키지 말고 내부로 모으라(恬淡虛無,真氣從之,精神內守)"는 것이다. 즉 마음을 비우고 욕망을 줄이며 명예와 이익에 연연하지 말고 외부의 유혹을 뿌리치라는 의미다.
또한 '황제내경'은 '덕행(德行)에 대한 중시'를 양생법의 핵심으로 가르쳤다. 손사막은 양생법을 집대성한 인물로서 본초학(本草學)에 대해서도 많은 저작을 남겼다. 서위(西魏) 시기에 태어난 그는 당 고종 연간 141세로 타개했다.
손사막은 “양생에는 다섯 가지 장애물이 있다. △첫째 명예와 이익에 연연해 하는 것, △둘째 기쁨과 노여움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 △셋째 가무와 여색을 뿌리치지 못하는 것이고, △넷째 감정에 얽매이는 것, △다섯째 걱정으로 정신을 산란케 하는 것"이라면서 "이 다섯 가지 장애물로부터 마음을 해방시키면 신망(信望)이 나날이 높아질 것이요 덕행이 온전해지니 구하지 않아도 복이 찾아오며 장수를 바라지 않아도 수명이 자연히 늘어날 것이다. 양생이란 바로 이런 뜻"이라고 밝혔다.
손사막은 도교(道敎)의 청정무위(淸靜無爲), 염담허무(恬憺虛無), 무이무불위(無爲而無不爲)와 유교의 덕전불위(德全不危), 인자수(仁者壽) 등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양생장수에 있어 도덕적 수양의 가치와 작용을 중시했다.
그는 저서 '천금요방(千金要方)'에서 "양생은 덕행에 달려 있다. 덕행을 겸비한 자는 약을 먹지 않아도 장수할 수 있으나 덕행이 부족하면 신선이 먹는 옥액금단을 먹더라도 오래 살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손사막은 또한 "성질을 잘 다스리는 자는 병이 걸리기도 전에 낫는다”고 했다. 그는 병을 치료하기 전에 마음의 병부터 다스려야 한다고 했는데, 병에 걸리기 전에 예방하려면 약을 먹을 것이 아니라 백행(百行)을 잘해야 한다는 의미였다. 백행이란 평상시의 모든 품행을 가리키는 것으로 앞서 소개한 다섯 가지 장애물과도 관련된다.
양생법에 관해 손사막은 사람들에게 "낙관적인 마음가짐, 즉 담담하고 관조적인 마음을 유지하고 정신을 잘 다스리라”며 “모든 정신적 활동에 너무 과격하거나 지나치게 오래 지속하거나 정도가 심하지 않도록 하라”고 조언했다.
그는 생각과 욕망, 걱정과 노여움을 모두 줄여야만 비로소 정기(精氣)를 모을 수 있어 '황제내경'의 양생법을 실천하는 것으로 여겼다.
손사막은 계절에 따라 오장(五臟)을 보(保)하는 섭생법(攝生法)과 양생법을 가르쳤다. “겨울에는 지나치게 따뜻하게 있지 말고, 여름에는 지나치게 시원하게 있지 말라", "봄에는 신 것을 적게 먹고 단 것을 많이 먹어 비장을 다스리고, 여름에는 쓴 것을 적게 먹고 매운 것을 많이 먹어 폐를 다스리며 가을에는 매운 것을 줄이고 신 것을 많이 먹어 간을 다스리고 겨울에는 짠 것을 적게 먹고 쓴 것을 많이 먹어 심장을 다스려야 하며, 계월(季月·춘하추동별 마지막 달) 18일에는 단 것을 줄이고 짠 것을 늘려 신장을 다스리라"고 조언했다. (계속)
大紀元時報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