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5.01(목)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SOH 산책] 수행(修行)과 산행(山行)

디지털뉴스팀  |  2023-05-11
인쇄하기-새창

[SOH] 청대(清代) 시인 원매(袁枚)의 《산행잡영(山行雜詠)》이란 시는 상당히 의미가 있는데 산행의 괴로움을 표현한 것이 마치 수행의 괴로움을 함축한 것 같다. 

십리 산길 울퉁불퉁 반리만 평탄한데
한 봉우리 지나면 또 한 봉우리 나타나누나
청산이 누에처럼 사람을 에워싸니
앞에 길이 있음을 믿지 못하누나

十裡崎嶇半裡平
一峰才送一峰迎
青山似繭將人裹
不信前頭有路行

“십리 산길 울퉁불퉁 반리만 평탄한데 한 봉우리 지나면 또 한 봉우리 나타나누나”

이 두 구절은 산길을 갈 때 쉽고 평탄한 길은 드물고 힘든 길은 많다는 뜻이다. 십리와 반리를 비율로 따져보면 20대 1이다. 여기서는 물론 일종의 비유다.

“한 봉우리 지나면 또 한 봉우리 나타나누나”는 봉우리가 끝없이 나타난다는 뜻이다. 산길을 걷는 사람에게는 확실히 그런데, 방금 봉우리 하나를 지나고 나면 앞에 또 하나가 나타난다. 산길을 걷는 특징은 시선이 가로막혀 있어 눈앞에는 겨우 몇 개 봉우리만 보여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이 두 구절은 확실히 수련과 아주 흡사한데 수련 역시 그렇다. 늘 좋은 날은 많지 않고 고비를 넘는 시간이 아주 길다. 막 한 고비를 넘긴 후 얼마 되지 않았지만 또 다른 고비가 찾아온다. 

수련이란 바로 이렇게 끝이 보이지 않는 것 같은데 이를 통해 사람의 항심(恒心)과 신(神)에 대한 견정한 신념을 고험하려는 것이다.

“청산이 누에처럼 사람을 에워싸니 앞에 길이 있음을 믿지 못하누나”

이 두 구절에 담긴 표면적인 뜻은 사람이 청산 속에 있으면 사방이 다 산이고 또 높은 나무들이 있어서 마치 사람이 그 속에 빠진 것처럼 정말로 앞에 길이 있는지 알지 못한다. 

이것이 바로 수련의 한 가지 상태인데 마난(魔難)에 둘러싸여 벗어날 길이 없는 것 같고 과연 앞에 통로가 있는지 알 수 없다. 미래에 대한 이런 막연한 미망(迷茫)이 수행인에게는 한 가지 절실한 감수다.

우리가 평소 올라가는 산에서는 흔히 이런 감수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다른 지방에서 산길을 걸어갈 때면 마치 끝이 없을 것 같은 감수가 있을 수 있는데 특히 초행길이라면 더욱 고통스럽다. 대체 아직 얼마나 먼 길이 더 남았는지 모르기 때문에 힘들고 고통스러운 것이다.

수련인(修煉人)이란 그 인내심과 항심을 고험해야 하는데 꾸준히 견지해야만 결과가 있을 수 있다. 아무런 희망이 없는 것 같은 그런 고통은 수련인이 반드시 걸어가야 할 길이다. 

正見網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493 [SOH 산책] 고대 이집트 예언에서 말하는 ‘말세와 창세주’..
디지털뉴스팀
23-07-11
1492 [古中文化] 의경(意境)
디지털뉴스팀
23-07-03
1491 [아하! 그렇구나] 60세를 ‘화갑(花甲)’이라고 하는 이유
문화부
23-06-21
1490 [SOH 산책] 잃음과 얻음
디지털뉴스팀
23-06-13
1489 [古中文化] 도사(道士)와 신선(神仙)
문화부
23-06-05
1488 [SOH 산책] 초파일... 연꽃으로 단장한 등불을 밝히며
문화부
23-05-27
1487 [SOH 산책] 침묵과 ‘양생칠결(養生七訣)’
문화부
23-05-26
1486 [古中文化] 스무 살 남자를 '약관(弱冠)'이라 부르는 이유
편집부
23-05-22
1485 [SOH 산책] 衣食의 오묘함
디지털뉴스팀
23-05-18
1484 [SOH 산책] 유혹
디지털뉴스팀
23-05-13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5,844,769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