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5.02(금)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SOH 산책] 설날 떡국

디지털뉴스팀  |  2023-01-22
인쇄하기-새창

[SOH] 오늘은 민족 최대의 명절 설날이다. 이 날에는 가족이 모여 떡국을 먹으며 소원을 빌고 덕담을 나누는 것이 우리네 전통이다. 

지금도 설이면 으레 떡국을 끓이지만 예전에는 더욱 그랬던 것 같다.

일제강점기인 1927년의 신문 기사에 이런 내용이 있다.

『설은 가까이 다가오는데 어린 것에게 떡국 한 그릇 먹일 수 없는 형편이었다. 

아이에게 떡국 한 숟가락이라도 먹이고 싶어 전당포 문이 닫히기 전에 떡과 간장을 사서 설날 아침 준비를 하겠다는 생각으로 빨아서 다듬어놓은 옥양목 치마 한 벌을 전당포에 맡겼다. 

“이십 전이라도 주시오.” 이 말을 들은 전당포 주인이 “치마를 어디에 쓰겠느냐”고 말하면서도 치마를 놓고 가라며 삼십 전을 내주었다.』

어려운 시절이었지만 인정(人情)이 살아 있음에 놀라고, 설날이라고 떡국 한 그릇을 먹이려고 애쓰는 모정에 감동한다.

설날에는 왜 떡국을 먹을까? 그것은 떡국이 오랜 옛날부터 하늘에 제사를 지낸 후 복을 빌며 먹는 음식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정월 초하루인 설날은 태양이 부활하는 날로 천지만물이 새롭게 태어나는 날이다. 

양의 기운이 돋아나 만물이 되살아나는 날, 질병을 예방하고 장수를 빌며 한 해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하면서 먹던 음식이 바로 떡국이라는 것이다.

떡국의 재료인 가래떡은 다른 떡과 달리 끊어지지 않게 길게 늘여 만든다. 《동국세시기》 에서는 “설날이면 멥쌀가루를 쪄서 커다란 목판 위에다 놓고 떡메로 무수히 내리쳐 길게 늘여서 만든다”고 했다.

그렇게 많은 수고를 하면서까지 떡을 길게 만든 것은 가래떡에 장수와 재복(財福)의 소원을 담았기 때문이다. 

국수를 장수의 상징으로 여겼던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떡국에는 부유함에 대한 소망도 담겨 있다. 가래떡은 굵고 길다. 그래서 떡국을 끓이려면 떡을 썰어야 하는데, 흥미롭게도 옛 문헌에서는 하나 같이 가래떡을 동전 모양으로 썬다고 표현했다.

《동국세시기》에서는 “동전처럼 얇고 가늘게 썰어 소고기나 꿩고기를 넣은 후 양념을 한 후에 먹는데 이를 떡국이라고 부른다”고 했다. 

《동국세시기>와 비슷한 시기에 한양의 세시 풍속을 기록한 《열양세시기》에서도 섣달 그믐날이면 가래떡을 엽전 모양으로 가늘게 썬 후 설날 떡국을 끓여서 식구 숫자대로 한 그릇씩 먹는다고 했다.

물론 《동국세시기》나 《열양세시기》에서 떡을 동전 모양으로 썬다고 표현한 것은 우연의 일치일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는 물론이고 다른 나라에서도 새해 첫날 먹는 음식은 대부분 ‘재물’과 관련이 있다.

예컨대 우리도 중부 이북에서는 설날에 떡국과 함께 만두를 먹는데, 중국도 춘절에는 만두를 먹는다. 그런데 춘절에 먹는 만두는 평소의 교자만두, 혹은 포자만두와는 생김새가 다르다. 

만두 양끝을 둥글게 말아서 붙이는데, 원보(元寶)라는 옛날 중국 은자를 본떠서 만드는 것이다. 돈 모양으로 빚은 만두를 먹으며 한 해 동안 집안에 재물이 넘치기를 기원하는 것이다. 

부잣집에서는 이것만으로도 모자라 금이나 은을 넣고 만두를 빚기도 했는데, 이런 만두를 먹은 사람은 일 년 동안 운수가 대통한다고 믿었다.

일본도 마찬가지였다. 숙종 때 통신사로 일본을 다녀온 신유한은 《해유록》에 ‘일본 떡도 우리의 권무병(拳姆餠)과 닮았다’고 적었다. 

권무병은 엄지손가락처럼 생긴 떡이라는 뜻으로 가래떡을 권무병이라고 했으니 엽전의 모양을 형상화한 것이 아닌가 싶다. 일본 사람들 역시 새해 떡국을 먹으며 부자 되기를 소원한 것이다. 

서양에도 새해에 음식을 통해 복을 비는 풍속이 있다. 프랑스와 그리스 등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새해에 동전을 숨긴 케이크를 나누어 먹는다고 한다.

케이크를 먹다가 동전을 씹는 사람은 한 해 동안 운수가 대통한다고 믿은 것이다. 새해에 복을 바라는 마음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모두 같은 것 같다.

떡국에는 이렇게 가래떡처럼 길게 오래 살기 바라는 장수의 소망과 부유함을 얻고자 하는 소원이 담겨 있다. 

오늘도 집집마다 맛있는 떡국 냄새가 끊이지 않을 것 같다.

/푸드라이프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453 [문화] 부동(不動)
디지털뉴스팀
23-02-16
1452 [포토] 브라질 거대 예수상에 벼락
디지털뉴스팀
23-02-16
1451 [SOH 산책] 信
디지털뉴스팀
23-02-13
1450 [SOH 산책] 立春大吉
이연화 기자
23-02-04
1449 [SOH 산책] 달에 관한 동서고금의 미스터리
편집부
23-02-04
1448 [문화] 中 파룬궁 탄압 다룬 애니메이션... 아카데미 최....
디지털뉴스팀
23-01-30
1447 [포토] 3년 전 ‘동방명주’ 실체 알아차린 네티즌
디지털뉴스팀
23-01-28
1445 [SOH 산책] 설날 떡국
디지털뉴스팀
23-01-22
1444 [SOH 산책] 중국인들이 새해에 폭죽을 터뜨리는 이유
편집부
23-01-20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5,844,769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