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속담에 “시작이 반” 이라는 말이 있다.
일단 시작만 잘 해도 반은 이룬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의미다. 쉬지 않고 꾸준히 노력한다면 나머지 반도 반드시 이루어질 것이라는 격려도 담긴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실을 위한 노력을 격려하는 또 다른 고사성어로는 △우공이산(愚公移山) △마부작침(磨斧作針) △ 철저마침(鐵杵磨針) 등이 있다.
이는 모두 ‘목표(目標)를 분명히 정한 후 집중(執中)과 끈기로 목표를 향해 노력(努力)한다면 결국은 성공할 수 있다’는 교훈을 전한다.
예나 지금이나 각종 어려움 속에서도 끈기와 노력으로 목표를 이룬 사례는 많은 감동과 긍정적인 힘을 준다.
磨(갈 마) 杵(공이 저) 作(지을 작) 針(바늘 침)으로 이루어진 ‘마저작침(磨杵作針)’은 『잠확유서(潛確類書)』에 나오는 성어로,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품고 있다.
시선(詩仙)으로 불리는 이백(李白/이태백)은 무역상이었던 아버지를 따라 어린 시절을 촉(蜀)나라에서 보냈다.
젊은 시절 도교(道敎)에 심취했던 이백은 유협(遊俠)의 무리들과 어울려 사천성(四川省) 각지의 산을 떠돌기도 했다.
그는 한때 공부를 하기 위해 팽산(彭山)의 상이산(象耳山)에 들어갔는데, 여러 가지 어려움으로 견지를 포기하고 돌아가기로 했다.
발길을 돌린 그는 인근 골짜기의 냇가를 지나다가 한 노파를 보게 됐는데, 그녀는 쇠로된 절구 공이를 숫돌에 갈고 있어, 이백은 그 이유를 물었다.
"할머니, 지금 무엇을 하고 계십니까?"
노파는 "바늘을 만들려고 갈고 있는 중이라오!"라고 답했다.
이에 당황한 이백은 노파에게 다시 물었다.
“아니! 그것을 어느 세월에 갈아서 바늘을 만들 수 있겠습니까?”
노파는 담담하게 “중지하고 않고 계속 갈면 언젠가는 바늘이 될 수 있을 것이요.”라고 말했다.
이백은 노파의 결연한 대답에 크게 느끼는 바가 있어 발걸음을 돌려 다시 산으로 올라가 뜻을 굳게 세우고 공부에 온 정성을 쏟은 끝에 마침내 중국에서 가장 뛰어난 시인이 되었다.
그 후 이백은 마음이 해이(解弛)해지거나 학업에 어려움을 느낄 때마다 노파의 모습과 말을 떠올리며 분발(奮發)했다고 한다.
그러한 노력의 결과로 이백은 시선(詩仙)이라 불리며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 시사의 거성으로 추앙받으며, 후손대대로 명성을 떨치게 됐다.
이백이 만났던 노파는 자신의 성을 무(武)씨라고 했는데, 이 일화 속 장소로 알려진 곳에는 ‘무씨 바위’가 존재하고 있다고 한다.
옛말에 ‘의지가 최고며, 재주는 그 다음이다(志至焉 才次焉/지지언 재차언)’라는 말이 있다. 성공의 비결은 타고난 재능보다 강한 의지와 노력이라는 의미다.
채근담(菜根譚)에 나오는 ‘노끈으로 톱질하여도 나무가 잘라지고, 물방울이 떨어져 돌을 뚫는다(繩鋸木斷,水滴石穿)’는 내용도 끈기 있는 노력만이 진정한 성공의 열쇠임을 강조하고 있다.
편집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