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5.14(수)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古典學堂] 절차탁마(切磋琢磨)

편집부  |  2022-09-28
인쇄하기-새창

[SOH] ‘절차탁마(切磋琢磨)’란 뼈나 상아나 옥돌 등을 갈고 다듬어 완전무결한 물건으로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한다. 

이 말은 학문이나 자기 수양에 부단히 노력하는 모양을 일컫는 말로 사용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기술이나 사업 면에도 인용될 수 있다.

절차탁마는 '시경(詩經)'의 ‘위풍(衛風)’, ‘기욱(淇澳)’에 나오는 구절이며, '논어'의 ‘학이(學而)’편에서도 이를 인용했다.

시경의 기욱에는 “아름다운 군자여, 자르는 듯, 스는 듯, 쪼는 듯, 가는 듯 하구나(有匪君子 如切如磋 如琢如磨)”라는 부분이 있다.

이는 군자가 수양을 쌓고 학문을 연마하는 모양을 칭송하는 표현으로, 절차는 학문을, 탁마는 수양을 표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시는 위나라 무공(武公)의 덕을 찬양한 것이라고 한다. 

논어에 다음과 같은 대화가 있다.

어느 날 자공(子貢)이 공자에게 물었다.

“스승님, 가난하더라도 남에게 아첨하지 않으며, 부자가 되더라도 교만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어떤 사람입니까?”

이에 공자는 “그것도 괜찮겠지만, 가난하면서도 도를 즐기고, 부자이더라도 예(禮)를 좋아하는 사람만은 못하다.”라고 대답했다.

공자님의 답변을 들은 자공은 또 물었다.

“시경에 ‘아름다운 군자여, 자르는 듯, 스는 듯, 쪼는 듯, 가는 듯 하구나’라고 했는데, 이것이 스승님께서 방금 말씀하신 뜻입니까?”

이에 공자는 “사(賜:자공의 이름)야, 이제 너와 더불어 시경을 말할 수 있겠구나. 과거의 것을 알려주면 미래의 것을 안다고 했듯이, 너야말로 하나를 들으면 둘을 아는구나.”라고 칭찬했다.

절차탁마는 여절여차여탁여마(如切如磋 如琢如磨)에서 如 자를 뺀 나머지 글자가 합쳐져 만들어진 것으로, ‘인내와 노력‘의 중요·필요성을 상징하는 성어(成語)로 사용되고 있다. 


편집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646 [TV 뉴스] 中 요식업계 폐업↑... ‘초저가 메뉴’로 소비....
디지털뉴스팀
24-06-26
1645 [아하! 그렇구나] 훈훈하고 감동적인 교보문고 설립·경....
미디어뉴스팀
24-06-23
1644 [SOH Info] 사람마다 적(敵)으로 대하는 사회
디지털뉴스팀
24-06-21
1643 [反박해] ‘파룬궁 진상 전단지 이야기’
미디어뉴스팀
24-06-20
1642 [SOH 산책] 참음(忍)과 평화
디지털뉴스팀
24-06-20
1641 [미스터리 TV] NASA가 43년간 감춘 달 뒷면의 소리
미디어뉴스팀
24-06-18
1640 [미스터리 TV] 3만 피트 구름 위에서 포착된 로봇 형상
미디어뉴스팀
24-06-15
1639 [SOH 산책] 시작과 끝을 함께 하는 ‘연(緣)’
디지털뉴스팀
24-06-15
1638 [古中文化] 상선약수(上善若水)
디지털뉴스팀
24-06-13
1637 [SOH Info] 기후 공포 부추기는 유엔 수장의 망언
디지털뉴스팀
24-06-13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6,426,771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