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삼복(三伏)은 1년 중 날씨가 가장 더운 때를 가리킨다. 구체적으로 초복(初伏), 중복(中伏), 말복(末伏)으로 구분된다. 대체로 양력 7월에서 8월에 해당한다. 이 시기는 1년 중 기온이 가장 높고 습도도 높아 무덥다.
삼복을 정하는 기준은 매년 하지 이후 세 번째 경일(庚日)을 초복, 네 번째 경일을 중복으로 했고 입추 이후 첫 번째 경일을 말복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초복과 중복은 늘 열흘 간격으로 일정하지만 중복과 말복 사이는 열흘이 되는 경우도 있고 이십일이 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을 월복(越伏)이라고 한다.
복날에 담긴 의미와 연중 30~40일에 달하는 이 시기를 삼복 또는 삼복더위라고 부르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복(伏)이란 단어의 원뜻은 말 그대로 사람이 개처럼 땅에 바짝 엎드린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 복날에는 장차 일어날 음기가 양기에 눌려 바짝 엎드려 있는 날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그런데 복이란 단어의 용례를 살펴보면 이미 ‘사기(史記)’의 ‘진본기(秦本紀)’에 “덕공(德公) 2년(B.C 676년) 처음으로 복날을 정해 개를 잡아 열독(熱毒)을 제거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즉 지금부터 약 2700년 전에 복날 개를 잡아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복날의 역사는 유구하다.
선인들은 무엇 때문에 이런 발상을 하게 된 것일까? 이를 이해하자면 고대 동양의 과학이라 할 수 있는 음양오행에 대한 상식이 필요하다.
오행이론에서 사계절을 오행과 연계하면 봄, 여름, 가을, 겨울은 각각 목(木), 화(火), 금(金), 목(水)에 해당한다.
또 계절의 변화를 오행으로 해석하면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것은 금생수(金生水)가 되고, 겨울에서 봄은 수생목(水生木), 봄에서 여름은 목생화(木生火)가 되어 오행이 상생해 순환한다.
하지만 유상생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것은 화극금(火克金)이 되어 오행삼극(五行相克)이 된다.
즉, 가을을 상징하는 금(金)의 기운이 여름의 화(火)의 기운에 눌려 제대로 힘을 펴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때 어떻게 하면 별 탈 없이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갈 것인가 하는 고민에, 금(金)이 잠복한다는 뜻에서 복(伏)이란 단어가 유래한 것이다.
쉽게 말해 가을철 金의 기운이 땅으로 내려오려 하는데 아직 여름의 더운 기운이 강렬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 단번에 일어서지 못하고 일정기간 엎드려 복종한다는 뜻이다.
이 시기를 중국에서는 장하(長夏)라 표현했는데 우리말로 하면 늦여름에 해당한다. 이렇게 다시 오행을 배속(配屬)해보면 봄, 여름, 장하, 가을, 겨울이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로 연결되어 자연스럽게 상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
편집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