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LMO·GMO(유전자조작·변형) 식품 보다 친환경 유기농 제품들이 환경 생태계와 인체 건강에 훨씬 더 좋다는 사실은 알지만, 막상 장을 볼 때는 적지 않은 가격차이 때문에 구입을 망설이거나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유기농 식품에 부착된 가격표를 보면서 과연 그만큼의 가치가 있을지를 고민하는 소비자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이런 이들에게 '인체 영양과 기능성 의약'에 관한 국제 전문지의 연구 논문 'GMO 음식을 끊었을 때 과학자들이 조사분석한 28가지의 이상(異常) 건강조건 역전현상'이 올바른 식품을 선택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미국 ‘내추럴 뉴스(Natural News)’ 2017년 11월 16일 자에 보도됐다.
■ GMO를 끊고 유기농 또는 非GMO 식생활로 바꿀 경우
논문에 따르면, 3256명에 대한 조사 결과 일상 식생활에 있어서 GMO 식품의 상습적인 복용에서 유기농 식품 또는 非GMO 식품으로 전환했을 때 인체 건강에 야기되었던 28가지의 이상(異常) 증상들이 대부분 개선되거나 완전히 회복됐다.
GMO 식품 섭취로 인한 조사 대상자들의 공통적인 이상증상은 △만성적인 소화불량 △피로감 △내장 이상 증세 △비만증 등 이었다. GMO 식품은 위와 내장을 둘러싸고 있는 세포들을 과도하게 팽창시켜 생리학적으로 비만을 유도한다.
GMO 식품의 반복적 섭취는 △과민성 반응 △심리적 불안 △우울증 등 정신적 장애도 유발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이스라엘 예루살렘 소재의 헤브류 대학은 학회지 ‘인간생식(2017년)’을 통해 "인간의 평균 정액 생산량이 1973년에서 2011년 사이 평균 59.3%나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를 밝혔다.
정액량의 감소는 사람이 제초제 아트라진(artrazine)과 같은 화학적 정액거세제에 너무 많이 노출된 결과로써 광범위하게 GMO 작물을 소비하는 미국 등 서방세계 국가들에 특별히 만연되어 발생했다.
■ GMO 식품은 어떻게 질병을 유발할까?
앞서 인용한 '인간 영양과 기능성 의약'에 관한 국제 전문지의 연구에 따르면, GMO 콩, 옥수수, 알팔파, 사탕무, 유채(카놀라), 파파야, 그리고 각종 식용유와 그 가공식품 등 유전자조작 및 변형 식품들이 인체에 질병을 불러오는 경로는 대체로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GMO로의 전환과정 자체가 나쁜 부작용을 일으키며, 둘째, 생물공학(Bt)기술에 의한 옥수수 및 목화씨 등 GMO 자체가 위험 요소이고, 셋째 대부분의 GMO 작물에 살포되는 제초제가 부작용 유발의 주요 요인이다.
특히 제초제의 주성분인 글리포세이트(glyphosate)는 이미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발암성 물질로 판명돼 현재 유럽 등 세계 각국에서 암환자들에 의한 반(反)제초제, 반(反)GMO의 집단 소송의 표적이 되고 있다.
GMO는 이미 영국과 프랑스, 독일, 러시아 등에서의 독립연구 결과 불임과 난임, 간과 콩팥의 손상, 종양과 유방암 등 암 발생, 자폐증, 치매 및 비만 현상과 관련된다는 것이 쥐, 돼지 등 포유동물들에 대한 2년 이상의 GMO 급여 실험에서 확인됐다.
조사표본의 대표성에 일말의 의의가 제기되기도 하였지만, 앞서 소개한 광범위한 GMO 식품 대체 효과는 그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아 평범한 소비자들을 깨어나게 했다.
즉, 이제부터라도 유기농 또는 非GMO 식품을 선택함으로서 28가지 이상의 알려진 비정상 건강 증상을 개선하려고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있다. 식품재료들에 GMO 성분이 함유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완전표시제 실시다.
■ 한국은 GMO 최대 소비국
한국은 세계에서 GMO 주 생산·수출국인 미국 다음으로 제일 많이 GMO 식품을 소비하고 있지만 완전표시제가 도입되지 않고 있다.
많은 학교에서 면역력이 약한 어린아이들에게 현재 합법적으로 GMO 급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반공의 최전선에 불철주야 고투하는 50만 장병들도 반강제로 GMO 식품을 매일 소비하고 있다.
깨어있는 소비자들도 GMO 식품을 피하려고 해도 그 식품에 GMO 성분의 재료가 포함 되어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전혀 알 길이 없다.
미국 1인당 수준에 버금가는 1인당 평균 62㎏을 연중 소비하면서도 GMO 함유 여부를 전혀 알지 못하고 산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대선 공약으로 ‘GMO 완전표시제’를 내걸었지만 지키지 않았다.
국내에서는 시행 10년째인 LMO·GMO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 있지만 국민이 아닌 기업의 영업이익을 보호하는데만 유용하다.
이로 인해 GMO 완전표시제와 같은 기초적 정보제공마저 불가능한 실정이다. 원천적으로 GMO가 아닌 국산 농산물에 Non-GMO라고 표시 하지도 못하게 한다.
심지어 박근혜 시절에는 국회가 앞장서 조리과정에서 DNA 단백질의 검출이 안될 경우 아무리 GMO 재료를 많이 사용한 제품(예, 두부, 식용유 등)이라도 GMO 함유 표시를 하지 안해도 괜찮다고 법적으로 면제하는 법개정까지 해 주었다.
국가와 관련 부처는 국민 유병률(有病率)이 얼마나 더 높아져야 각성할 것인가? 아무도 속시원히 대답해주는 이가 없다는 것이 대한민국의 현주소이지만 그럴 때일수록 국민들은 이 문제에 께어 있어야 한다.
고대 로마의 시인 비질은 일찍이 “인류의 최대 자산과 부(富)는 건강이다.”라는 시를 노래했다.국민 위에는 국가가 있어도 그 국가 위에는 사람이 있고 사람의 건강과 안전한 밥상이 최고의 정책이라는 사실을 잊어선 안 된다. / 프레시안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