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일본인이 생선회는 좋아할지 몰라도 진정으로 물고기를 사랑하는 건 중국인이다.
중국 역사가 시작됐다는 하, 은, 주 이전 전설 시대인 삼황오제 시절부터 물고기와의 인연이 특별했으니, 중국 역사는 물고기와 함께 시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고기는 중국 고대부터 특별한 의미가 있었다. 무엇보다 물고기는 하늘의 뜻을 전하는 전령사였다.
옛날 중국에서는 일상생활의 소식도 물고기를 통해 전달받기를 원했다.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어전척소(魚傳尺素)’라는 말인데, 한나라 때 멀리 변방으로 떠난 남편이 비단에 쓴 편지를 생선 배 속에 넣어 아내에게 보냈다는 민요가사에서 비롯됐다.
“멀리서 온 나그네 일어 두 마리를 전해 주었네.
일하는 아이 불러 잉어를 잡아보니 배 속에 한 자 길이 비단에 쓴 편지가 들었네.
무릎 꿇고 읽어보니 이게 무슨 말일까.
전반부는 밥 잘먹고 잘 있으라는 말이고, 후반부는 보고 싶다는 소리.”
예전에는 편지를 전달할 때 배를 타거나 말 또는 마차를 타고 장시간에 걸쳐 전해야 했기 때문에 자칫 편지가 훼손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나무 상자에 넣어 운반했는데 이때 상자의 형태가 주로 물고기 모양이었다. 생김새도 예쁠 뿐만 아니라 휴대도 편리했기 때문이다.
편지는 하얀 비단에 썼는데 길이가 보통 한 자였기에 어전척소라는 말이 생겼다.
문화 인류학자들은 중국인들이 물고기를 사랑하는 가장 큰 이유로 중국의 물고기 토템 신앙을 꼽는다.
우리가 단군 신화에서 곰을 한민족의 기원으로 보는 것처럼 중국에서는 물고기를 자신들의 뿌리로 여긴다.
물론 중국인은 스스로를 용(龍)의 자손이라고 말하지, 물고기의 자손이라고는 말하지 않는다.
용의 자손이라는 말은 중국 한족의 선조인 ‘염제(炎帝)’와 ‘황제(黃帝)’가 용의 계승자라는 전설에서 비롯됐는데, 이런 전설의 뿌리는 옛날 중원에 살았던 화하족(華夏族)의 용 토템 신앙에서 나온 것이다.
그런데 용 토템 신앙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물고기 토템 신앙과 깊이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용은 전설 속의 동물이다. 때문에 실제로 존재하는 동물 중에는 뱀 또는 물고기가 변해서 용이 된 것으로 본다.
고대인의 이런 상상이 반영되어 생긴 말 중 하나가 ‘등용문(登龍門)’이다. 어려운 관문을 통과해 크게 출세한다는 뜻으로 쓰이는 등용문은 잉어가 황허강 상류를 거슬러 올라 용이 되어 하늘로 승천한다는 전설에서 비롯된 말로 『후한서』 「이응열전」에 나온다.
이러한 중국의 물고기 숭배 신화는 현대에까지 고스란히 이어지면서 중국 문화의 풍속 곳곳에흔적을 남겼다.
중국에서는 결혼할 때 빨간 종이를 오려 만든 문양을 결혼식장이나 신혼방에 붙여 놓는다.
보통 ‘기쁠 희(喜)’자 두 개를 겹쳐 쓴 ‘쌍 희(囍)’를 붙이거나 잉어 두 마리가 태극 문양처럼 서로 꼬리를 물고 돌아가는 모습의 그림을 붙인다.
이런 결혼 축하 그림에 등장하는 물고기를 ‘쌍어도(雙魚圖)’ 또는 ‘음양어(陰陽魚)’라고 하는데, 여러 상징적 의미가 있다.
물고기는 우선 부부를 상징한다. 물과 생선은 서로 떨어져서 살 수 없기에 부부가 함께 백년해로하라는 축복의 뜻이 담겨 있다.
또한 ‘다자다손(多子多孫)’의 의미도 있다. 물고기가 수만 개의 알을 품고 있는 것처럼 자식을 많이 낳으라는 덕담이다.
식사 때도 생선은 각별한 대우를 받는다. 중국의 손님 대접용 음식이나 잔칫상을 보면 차려진 요리 종류에 따라 연회의 품격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
산해진미를 두루 갖춘 요리상이야 돈만 있으면 얼마든지 차릴 수 있지만 어떤 역사와 유래가 있는 요리를 준비했는지에 따라 주최 측의 품위와 격조가 달라진다.
다만 우리가 볼 때는 어떤 요리상이 잘 차려진 식탁인지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은데, 이럴 때 어렵지 않게 구분하는 방법은 일단 생선요리가 있는지를 보는 것이다.
생선요리가 나오면 잘 차려진 식탁이라고 해도 큰 오해는 없다. 해산물이 보이면 신경을 썼다고 여겨도 좋다.
물론 아무 생선이나 식탁에 올라와 있다고 무조건 좋아할 일은 아니고, 베이징의 잉어 요리나 상하이의 조기 요리처럼 지역과 계절에 따라 특별한 날에 먹는 특별한 생선이 준비되어야 한다.
해산물 중에도 ‘옌바오츠’가 포함돼 있다면 최고의 대접이다. 옌(燕)은 제비집, 바오(鮑)는 말린 전복, 츠(翅)는 상어지느러미 요리다.
중국요리에서 생선과 해산물이 특별한 이유는 단순히 맛있거나 값이 비싸기 때문이 아니다.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물고기를 특별히 여겨온 역사와 문화가 그 속에 담겨 있는 까닭이다. 그렇기에 먼 옛날부터 생선은 늘 최고의 요리로 대접받았 던 것이다.
편집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