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7.24(목)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SOH 산책] 양생(養生), 몸과 마음을 편안히 하고 병에 걸리지 않게 노력함

편집부  |  2019-09-16
인쇄하기-새창



▲ [사진=픽사베이]


작가 : 청현


양생의 사전적 의미는 ‘병에 걸리지 않도록 건강관리를 잘하여 오래 살기를 꾀함’이다. 장자(莊子)는 노자(老子)의 학설을 계승하여 무위자연의 도가 사상을 완성했다. 장자(莊子)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 것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야기한 ‘양생주(養生主)’편을 보면 건강장수의 비결도 알 수 있다.


포정(庖丁)이 문혜군(文惠君)을 위해 소를 잡는데, 칼 쓰는 것이 음율(音律)에 맞지 않음이 없었다.


문혜군이 말했다.


“재주가 어떻게 여기까지 이를 수가 있는가?” 포정이 칼을 놓고 이렇게 대답했다. “제가 좋아하는 것은 도(道)이니 그것은 기술에 앞서는 것입니다. 처음 소를 잡을 때는 눈에 보이는 것이 소뿐이었습니다. 그러나 3년 후에는 소가 보이지 않게 되었고, 지금은 오로지 영감으로 대할 뿐 눈으로 보지 않습니다.


감관(感官)은 멈춰버리고 영감만 작용하고 있습니다. 칼을 뼈마디 틈새에 대고 쪼개는가 하면, 빈 골절사이를 왔다 갔다 하니, 말하자면 자연의 도리를 따라 칼질을 하는 것입니다. 제 칼날은 결코 가로 세로 얽혀진 힘줄을 다치지 않게 하거늘, 하물며 커다란 뼈를 치는 일은 없습니다. 능숙한 칼잡이도 1년에 한 번은 칼을 바꿉니다. 살을 너무 많이 벤 까닭입니다. 보통 칼잡이는 한 달에 한 번씩 칼을 바꿉니다. 칼로 살을 베는 게 아니라 뼈를 베는 까닭입니다. 지금 제가 쓰고 있는 칼은 19년이나 됐습니다. 이 칼로 잡은 소만 몇 천 마리는 될 것입니다. 그러나 칼은 금방 숫돌에 갈아 온 듯 날카롭습니다.


원래 뼈가 이어진 곳엔 빈틈이 있기 마련인데, 제가 쓴 칼날은 그 빈틈보다 얇기 때문입니다. 얇은 두께로 넓은 간격을 휘두르면 아무리 해보아도 칼날은 칼날대로 보전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막상 뼈와 힘줄이 엉켜진 곳을 만나면 저도 다루기 어려운 줄 알고, 조심해 곧 눈길을 멈추고 행동을 천천히 하며 칼을 놀리는 것도 매우 미묘해집니다. 그러다가 쩍 갈라지면 마치 흙덩이가 땅에 떨어지듯 고기가 와르르 헤집니다. 그때야 칼을 들고 일어서서 사방을 둘러보며 머뭇머뭇 만족해하며 칼을 잘 닦아 칼집에 접어 넣습니다.”


문혜군이 말했다.


“훌륭하구나, 나는 포정의 말을 듣고 양생법을 배웠도다.”


생명에는 한계가 있지만 지식에는 한계가 없다. 한계가 있는 것으로 한계가 없는 것을 따르게 되면 위태롭다. 위험한 줄 알면서 지식을 추구함은 더욱 위험한 일이다. 중도(中道)를 따름으로써 상도(常道)를 삼으면, 몸을 보존할 수 있고 삶을 온전히 할 수 있으며, 천수를 누릴 수 있다.



편집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729 [SOH Info] 韓 산업 생태계 휘젓는 중공의 ‘기술 탈취’
디지털뉴스팀
25-07-24
1728 [SOH 이슈] 총성 없는 전쟁
디지털뉴스팀
25-07-19
1727 [SOH 이슈] ‘13조 쿠폰’ vs ‘1.5조 방위비’... 무엇이 ....
디지털뉴스팀
25-07-09
1726 [SOH 산책] 운칠기삼(運七技三)... 도덕적 과실(果實)과....
디지털뉴스팀
25-07-04
1725 [SOH 산책] 운칠기삼(運七技三)... 도덕적 과실(果實)과....
디지털뉴스팀
25-07-03
1724 [SOH 산책] 씨앗과 황금
편집부
25-06-28
1723 [채널 Pick] '빚 탕감 정책'의 비밀
미디어뉴스팀
25-06-26
1722 [SOH 산책] 어느 아버지의 마음과 LG 구본무 회장
편집부
25-06-20
1721 [SOH Info] 공산당과 타협하는 것은 스스로 함정에 빠지....
디지털뉴스팀
25-06-18
1720 [SOH 산책] 정도(正導)가 무너진 말세에 돋보이는 부탄 ....
디지털뉴스팀
25-06-11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9,593,315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