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칭롄(何清漣 중국경제전문가)
[SOH] 정치가 불투명하고 권력이 대중으로부터 은폐되어 작동하는 곳은 루머의 온상이 된다. 중국은 항상 루머로 가득한 곳이다, 특히 혼란과 혼돈의 시대, 혹은 왕조의 몰락이 가까운 때에는 그렇다. 현재와 같은 웹 2.0 시대에도 중국인들은 온갖 루머에 쌓여있다, 마치 100여년전 청왕조가 그랬듯이.
이 모든 루머들의 원인은 하나로 모을 수 있다: 바로 왕리쥔 사건이다. 충칭시 부시장이자 전 공안국장 왕리쥔은 지난 2월 청두 주재 미국 영사관에 진입했다. 3월 15일 중국에서 가장 힘있는 사람 중 하나인 보시라이가 해임됐다. 지난 수년간 국내외에서 각광을 받았던 보시라이는 대중의 시야에서 사라졌다. 그의 행방조차 ‘국가비밀’이 되었고, 그가 당국으로부터 받은 처벌은 더 큰 비밀이 되었다. 그 결과 루머가 난무하게 되었다.
많은 이야기들은 중국 밖에 있는 중국어 웹사이트에서 검색될 수 있었다. 보가 가택연금 상태에 있다는 것과 같이 일부는 그럴 듯 했고, 쿠데타가 발생했다는 것처럼 믿기지 않는 것도 있다. 그러나 보에 관한 뉴스는 중국 내에서 검열되고 있기 때문에 웨이보에는 여러 형태의 은어들이 난무하고 있고 이것들은 날마다 바뀌고 있다.
대형 국제 언론들도 인터넷에 나타난 실마리들을 풀려고 했다. 예를 들어 뉴욕타임즈와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은 3월 15일 중공 중앙위원회의 ‘왕리쥔 사건 초동 처리에 관한 게시판’에 대해 보도하면서, 이 게시판을 읽었던 일부 중국 관리들에게 사실을 확인했다. 후에 다른 주요 언론들도 퍼즐 맞추기에 동참했다.
3월 20일, 보가 6∙4 천안문 사건에 대한 원자바오 총리의 재평가 요구를 계속 반대했다는 보도가 영국 파이낸셜타임즈에 의해 보도되었다. 다음날인 21일 중국 웹사이트 검열은 급작스레 해금되어 중국 네티즌들은 인터넷에서 ‘6∙4 사건’에 대해 검색할 수 있었다. 이는 훨씬 더 무리한 억측을 불러 일으켰다.
루머는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는 보와 그의 아내 구카이라이의 부패에 관한 것이다. 두번째는 보가 끌고 나온 중공 최고위층의 충돌에 관한 것이고 세번째는 군을 배경으로 권력투쟁에 휘말린 수많은 사람들에 관한 것이다.
중국 관리들이 침묵을 지키고 있기 때문에 중국인들은 보도의 행간에 숨어있는 진정한 의미를 해독하는 특별기술을 개발했다. 보도에 따르면 젊은층의 외면을 받던 관영 CCTV 저녁뉴스가 대단한 시청률을 보였다고 한다. 사람들은 인내심을 갖고 누가 화면에 나오지 않았는지를 보기 위해 지루한 뉴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지켜봤다. 보의 후원자였던 정치국 상무위원이자 중앙 정법위 서기인 저우융캉은 특별주목 대상이 되었다.
독재사회에서 사는 사람들에게 루머는 권력을 가진 자들에게 저항하는 무기로 사용된다. 중국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만연된 루머가 사람들이 상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 중요한 역할을 한 때는 보통 왕조가 몰락할 때와 국가가 혼란에 빠져들 때였다.
루머는 사람들이 무엇을 생각하는지, 혹은 정치적 상황이나 사회상태에 대한 통찰력을 주기도 한다. 현대에 들어 중국은 정치적 루머가 춤을 췄던 때가 세 번 있었다. 첫번째는 청왕조 말기였고, 두번째는 국민당이 대만으로 퇴각하기 전날이었으며, 세번째는 문화혁명이 끝난 1976년이었다.
청왕조 말기를 예로 들어보자. 분위기는 왕조의 몰락을 예견하고 있었고 정부 최고위층의 내부투쟁과 논쟁에 대한 이야기들로 가득했다.
1911년 10월 후베이 신군(新軍)의 봉기(왕조의 몰락을 가져온 무창의기(武昌蜂起)의 전초)를 일으킨 것은 병사들이 생명과 직결된 루머였다. 만주 제국 정부가 한족(漢族) 병사들의 명부를 찾아 후베이 신군 소속이던 한족 병사들을 혁명군 일원이라는 이유로 체포하고 처벌했다는 것이다.
루머는 한족 병사들을 복종은 곧 죽음이라는 상황으로 몰아넣었다. 반란을 일으킨다면 살아날 수 있었다. 따라서 10월 10일 밤 봉기가 일어난 것이다.
중국은 정보가 투명하지 않은 국가다. 권력투쟁이 있을 때마다 루머가 곳곳에 퍼졌고 하위급 관리조차도 루머를 믿고 퍼뜨렸다. 웹 2.0 시대의 정부는 모든 정보 채널을 쥐고 있어도, 아무리 좋은 정보통제 수단이 있더라도 다른 길이 없다. 정부가 규제를 강화할수록 루머의 생산과 유포 방법은 더 기발해진다.
2월 왕리쥔 사건 이후 루머는 정치 소통, 정치학과 소통에 대한 학제간 연구에 귀중한 연구사례를 보여주었다.
한 사회의 정치체제와 소통체제는 공생관계다. 루머가 재빨리 유포된다는 것은 어느 정도 사회 충돌과 통치의 혼란을 반영하는 것으로, 급격한 변화와 분열, 거대한 붕괴가 일어날 수 있다는 징조다. 이러한 루머들은 기본적으로 중국 정부의 정통성을 침식하는 것이다.
이 모든 루머들 사이에서 중국인들은 중국 정부에 점점 더 불만을 갖게 되고 정부를 경멸하게 될 것이다. [미국의 소리방송(VOA) 전재]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